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The Status and Challenge of ‘Unified Silla’ Stu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9.09
28P 미리보기
‘통일신라’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95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재환

    초록

    이 글은 676년부터 신라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최근 10년간 현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방향성의 모색을 시도한 것이다. 근래 ‘통일신라’사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위축되어 있다는 이미지가 있으나, 실제 연구 성과들을 모아보니 그렇게 보기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그러한 인상을 갖게 했던 이유로 관심이 집중될 만한 이슈와, 학계의 이목을 끌만한 문자자료의 신발견·신출토가 상대적으로 적었음을 들 수 있겠다. 아울러 이전에 중요시되던 핵심 논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논쟁의 방향도 한 지점으로 몰리지 않았다. 다양한 이야기들을 묶어내던 큰 틀, 구심점으로의 힘이 약해지는 추세가 주목된다.
    구심력의 약화는 곧 다양성의 강화로 바꾸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화에 대해서는 파편화를 우려하는 시선도 있으나,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연구 영역을 확장시킨다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더 이루어져야 할 필요도 있다. 앞으로 역사학계가 손을 내밀어야 할 대중의 취향은 그 가운데서 찾아질 것이다.
    근래에 들어 지구사, 거대사를 비롯한 거대한 역사 서사에 대한 전 세계적 대중의 수요가 확인된다. 파편화된 소재는 그 소재에 기반하여 공간축 혹은 시간축을 따라서 각자의 영역을 확장하면서 이야기를 펼쳐 나갈 수 있게 한다. 작은 이야기가 큰 세계를 만나는 다른 방향성 또한 가능한 것이다. 신라의 역사, 혹은 ‘한국사’를 이야기하기 위한 목적과 방향성 아래에서의 시야 확대가 아니라, 인간과 세계, 지구라는 거대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데 있어서의 한 부분, 분야의 연구라는 측면을 의식해 볼 필요가 있다. 개별 연구는 궁극적으로 하나의 파편, 조각일 수밖에 없지만, 무엇의 조각이 될 것인가는 특정한 지역 세계, 문명권, 반구(hemisphere), 혹은 지구 전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케일을 통해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figure out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recent decade of researches covering the period from 676 CE to the fall of Silla dynasty and seek a new direction. Recently, there is an image that the research of ‘Unified Silla’ is relatively shrinking, but the results of the actual researches did not match that image. The reason why the researchers have such an image is that there are relatively few issues that may attract a big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and also relatively few document materials excavated newly. At the same time, interest in the key issues that were previously considered important was diminished, and the direction of discussion was not concentrated on one side. It is noticeable that the big framework which bound the various stories, the tendency of the centripetal force was weaken.
    The weakening of the centripetal force can also mean that the diversity was strengthened. As for the diversification, there are some concerns about fragmentation, but it should be encouraged in terms of expanding research areas to various themes and subjects. From now, the academic world of history must reach out to the tastes of the masses, and the themes and subjects that meet those tastes can be found among them.
    In recent years, the global demand for huge historical narrative such as Big History and global history is remarkable. The themes and subjects which are fragmented can expand their stories along each space axis or time axis. The ways in which small stories meet the big world can be various. The expansion of vision is not just for history of Silla Dynasty or ‘Korean History’. Each research can also be a part of bigger story such as the human, the world and the earth not just of the country or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