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레피센트>(Maleficent) : 새로운 모성마녀의 탄생 (Maleficent : Birth of a New Witch-Motherhood)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7.06
23P 미리보기
&lt;말레피센트&gt;(Maleficent) : 새로운 모성마녀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33호 / 109 ~ 131페이지
    · 저자명 : 이수경

    초록

    오랜 기간 민중들 사이에서 전해지던 민담은 오늘날까지도 그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16세기 인쇄매체에서 시작해 20세기 영상매체로 조명받기 시작한 민담은 21세기에 이르러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재조명되며 여전히 그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월트 디즈니사는 1927년 최초의 유성 단편 애니메이션 <증기선 윌리>를 시작으로, 1932년 최초의 컬러 단편 애니메이션 <꽃과 나비>, 1937년 최초의 컬러 장편 애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등 세계 최초라는 수식어를 갖고 있는 작품들을 발표하며 영화계에서 그 위상을 높인 바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계속해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고, 2014년 실사영화 <말레피센트>를 발표했다.
    디즈니의 작품에 등장하는 마녀는 대부분 부정적이며 악의 대명사처럼 묘사되어 왔다. 막강한 능력을 소유한 그녀는 서구의 남성사회가 요구하는 가정적, 수동적 여성상과는 차별화된 인물이다. 작품 줄거리에 있어 중요한 사건을 제공한 마녀는 작품 초반에만 등장할 뿐, 작품이 전개되면서는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사라져버린다. 간혹 예외적으로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처럼 작품 전체에 걸쳐 등장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에서 그녀는 그저 스쳐지나가는 에피소드적 인물일 뿐이다. 마녀의 역할은 단지 고난을 부여하기 위해 등장하는 악의 대변자이며, 공주에게 저주나 악을 행하지만, 공주는 언제나 구원되고 해피엔딩을 맞이한다.
    이렇듯 존재감이 거의 없던 마녀는 영화 <말레피센트>에 이르러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하게 된다. 주인공이 되기 위해서 사악한 마녀는 기존 속성을 포기하고, 남성중심 가부장제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적 특질, 즉 모성성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 디즈니는 마녀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일견 남성처럼 독립적이고 적극적인 형상을 묘사하고 있는 듯하다. 믿었던 남자의 배신을 그대로 묵인하지 않고 복수하는 그녀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결국은 아이에 대한 애정을 키워가게 됨으로써 지극한 모성애를 갖고 있는 21세기 모성마녀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디즈니는 막강한 능력의 소유자인 마녀조차 여성의 기본적 속성, 즉 모성애를 가진 인물로 축소하고, 모성마녀를 통해 포장만 바꾼 채 남성중심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또 다시 재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인류 문명사에 새로운 역사가 시작될 수도 있는 21세기,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지도 모르는 4차 혁명 시대가 도래했다. 그러나 100여 년간 이어져온 디즈니의 남성중심적, 가부장적 보수성은 포장만 달리한 채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folk tale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among the people for a long time, continue their persistent vitality to this day. Starting from the 16th century print media, folk tales, which began to be illuminated as a video media in the 20th century, has been renewed from a new perspective in the 21st century and still maintains its vitality.
    Walt Disney showed the first sound short animation Steamboat Willie in 1927, the first color short animation Flowers and Trees in 1932, and the first full-length color animation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in 1937. It has elevated its status in the film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Disney continues to present his work, in 2014 he released the live-action film Maleficent.
    Most witches in Disney's works have been described as negative and evil symbol. She is a person of majestic ability and she is different from the homely and passive feminine image required by the Western male society. Witches who provide important events in the plot are only present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and disappear without revealing. Sometimes exceptions appear throughout the work, like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but in most of the works she is just a passing episode. The role of the witch is just the evil spokesperson who appears to give the suffering and curses or evil to the princess, but the princess is always saved and has a happy ending.
    The witch, who had no such presence, came to the movie Maleficent and was born with a new look. In order to become a heroine, the wicked witch has abandoned her existing attributes and acquired the female characteristics, ie, motherhood, required by the masculine patriarchal society. Disney seems to describe a witch as a heroine and an independent and active figure like a man at first glance. She does not tolerate the betrayal of the believed man, but she is actively involved. However, she is eventually reborn as a maternal witch in the 21st century with a motherly love. Disney, even the witch, the owner of the mighty ability, is reduced to the basic attribute of a woman, those with maternal love. Disney is once again reproducing the ideology of a male-centered society by changing its packaging through maternity witches.
    In the 21st century, where a new history may begin in human civilization, has become the fourth revolutionary era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may replace humans. However Disney's male-centered and patriarchal conservatism has continued for 100 years with different packag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