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페미니즘 순환의 (불)가능성-우에노 지즈코의 일본군 '위안부'론을 중심으로- ((Im)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Japanese and South Korean Feminisms : Focusing on Ueno Chizuko’s ‘Comfort Women’ Discours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9.08
32P 미리보기
한일 페미니즘 순환의 (불)가능성-우에노 지즈코의 일본군 '위안부'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47호 / 55 ~ 86페이지
    · 저자명 : 임경화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연구자이자 한국의 페미니즘 운동과 가장 활발히 교류해 온 활동가이기도 한 우에노 지즈코가 한국 페미니즘 연구자들과 나눈 교류의 궤적을 좇았다. 특히 한일간 페미니즘의 소통과 연대를 통한 순환의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어 온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었는지에 주목하여 각각의 교류를 유형화하여 제시했다. 우선 조한혜정과의 교류에서는 아시아의 가부장제, 내셔널리즘에 대한 페미니즘 비판이 공동의 과제로 인식되었고 민족과 국가를 상대화하고 개인과 시민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기반이 공유되었다. 하지만, 공동의 과제이어야 했을 군사주의나 전시 성폭력 문제는 회피된다. 양자의 회피 논리는 가해와 피해의 이분법의 한계, ‘위안부’ 문제의 내셔널리즘에의 종속에 대한 비판이었다. 하지만, 내셔널리즘을 비판하고 젠더 문제에 초점을 맞춘 우에노의 ‘위안부’ 문제 인식이 식민지 지배 책임, 전쟁 책임을 비가시화하여 역사수정주의에 취약하다는 것은 박유하와의 온정주의적인 교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근본 원인은 식민주의를 간과하고 보편주의를 강조하여 일본군 ‘위안부’ 운동을 뒷받침해 온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문제의식과 어긋난 데에 있다는 것을 김부자와의 논쟁에서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에노 지즈코는 일본군 ‘위안부’ 운동에 관한 한, 한국의 교류 상대자들과 그 차이를 인정하면서 평등한 관계를 전제로 하는 공투에는 지속적으로 실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Ueno Chizuko, a representative of the Japanese feminist researchers and activist who has a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South Korean feminist movement, and the South Korean feminist scholars. I especially focused on how the issue of Japanese Army’s ‘comfort women’ - which can function as a barometer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South Korean-Japanese feminist exchanges are possible – has been discussed between them, and classified their exchanges. First of all, in the exchanges with Cho-Han Hyejŏng’s, feminist criticism of the Asian patriarchy and nationalism was regarded as a common task. Both feminists shared the basis of liberal feminism, relativizing the ethno-nation and state and emphasizing individuals and citizens. However, the discussions on the militarist sexual violence, which should have become yet another common task, were avoided. The logic which both feminists used to legitimize this avoidance, was their critical stance vis-à-vis the dichotomy of victims and victimizers, as well as the subordination of ‘comfort women’ issue to nationalism. However, Ueno Chizuko’s paternalistic exchanges with Pak Yuha give ample material to find out that, her criticism of nationalism notwithstanding, her understanding of ‘comfort women’ issue renders the problems of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colonialism and war invisible and proves weak in the face of historical revisionism. From Ueno Chizuko’s critical discussion with Kim Puja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basic reason for that is Ueno’s lack of attention towards the issues of colonialism combined with her emphasis on the universal. It brings her far apart from the postcolonial feminism which underpinned the movement for just resolution of ‘comfort women’ issue. In conclusion, it may be said that, while acknowledging its differences over the Japanese Army ‘comfort women’ issue in the dialogue with her South Korean interlocutors, Ueno Chizuko repeatedly fails in the discussion space predicated upon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ussants.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