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전쟁 이후 유몽인의 시대인식과 『어우야담』 편찬 (Yumongin(柳夢寅)’s Perception of the Times and Compilation of the 『Uyadam(於于野談)』 after the Imjin War(壬辰戰爭))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3.11
32P 미리보기
임진전쟁 이후 유몽인의 시대인식과 『어우야담』 편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95호 / 13 ~ 44페이지
    · 저자명 : 김경록

    초록

    조선중기 조선의 대표적인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유몽인은 임진전쟁의 경험과 명확한 시대인식을 바탕으로 전쟁이후 국가재건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유몽인은 임진전쟁 기간에 명나라에 사신으로 왕래하여 국제정세를 정확하게 파악하였으며, 전쟁에 참전하는 명나라 군대의 역할과 함께 조선군대의 독자적인 작전능력을 강조했다. 병력을 충원하고, 무기를 수집하여 적극적으로 일본군에 대응하여 군사작전을 전개해야 한다고 보았다. 군사적 대응과 함께 백성들의 자발적인 전투의지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전쟁으로 피해를 본 백성들에 대한 국가의 교화정책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이런 인식은 전쟁이후 전후복구 및 붕괴된 통치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국가의 적극적인 대민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유몽인의 이러한 시대인식은 광해군에 의해 추진된 전후복구 및 민심의 안정을 위한 교화서의 편찬에 적극적으로 동의했다. 유몽인 광해군의 『동국신속삼강행실도』 편찬을 지지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강조했다. 유몽인은 비록 정치적으로 광해군시대에 발생한 정치사건에 대해 반대했지만, 인간적으로 광해군에 대한 인연을 중시했다.
    유몽인은 국가차원의 교화서 편찬과 함께 개인적으로 일반 문집이 아닌 백성들이 편하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야담서적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유몽인은 자신의 혈연관계, 학연관계, 지리적 연관성이 있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과 사건을 백성들이 효과적으로 읽도록 수록했다. 기존의 실기문학, 야사문학의 작품이 존재했지만, 유몽인이 제목에 야담을 명시한 것처럼 자신의 이름으로 자신과 관련된 인물들의 전쟁 및 삶을 문학작품으로 편찬하였다.

    영어초록

    Yumongin, a leading scholar and statesman of the Joseon Dynasty, realized the need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war based on his experience of the Imjin War and his clear perception of the times. Yumongin traveled to the Ming Dynasty as an envoy during the Imjin War and accurately understoo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emphasizing the role of the Ming army in the war and the unique operational capabilities of the Korean army. He emphasized the role of the Ming army in the war and its unique operational capabilities. Along with the military response, it was argued that the people’s willingness to fight should be increased,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state’s edification policy for the war-affected people was necessary. This perception led him to believe that an active public policy was necessary for post-war recovery and restoration of the collapsed governing order.
    The Yumongin’s awareness of the times led them to actively agree to the compilation of edifying books for post-war recovery and stabilization of public sentiment promoted by the Kwanghaegun(光海君). Yumongin supported the compilation of 『Dongguk Sinsok Samkang Ha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by the Kwanghaegun and emphasize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lthough Yumongin was politically opposed to the political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Kwanghaegun period, he valued his human connection to the Kwanghaegun.
    Along with the compilation of edifying books at the national level, Yumongin personally recognized the need for a joke book that could be read easily and comfortably by the people, rather than a general textbook. Yumongin included the lives and events of various people with whom he had blood, academic, and geographical ties in order to make them read effectively. Although there were existing works of practical literature and yasa literature, Yumongin compiled the wars and lives of people related to him in his own name as a literary work, as he specified yadam in the tit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