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적 성왕(聖王)으로 변용되는 세계의 개척자- 禹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Transformation from the Pioneer of The Primitive World to The Confucian Sage King : Transformed Mythology of Yu (禹))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유교적 성왕(聖王)으로 변용되는 세계의 개척자- 禹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4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성시훈

    초록

    선진시대 문헌에서 역사 서술과 사상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는 특히 상고적(尙古적) 경향을 강하게 가지는 유가류 문헌에서 그러하다. 『상서(尙書)』는 그 대표적인 문헌으로, “공자에 의하여 정리된” “실재했던 도덕적 역사”로서 후대에 전해졌으며, 도덕적 전범(典範)으로써 후대인들에게 행위와 판단의 준거가 되어 왔다. 그러나 전래문헌과 출토자료의 문헌을 비교해 보면 왕조나 인물의 실재 여부와 그 인물의 성인으로서의 이미지 형성은 별개의 문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요⋅순⋅우를 필두로 하는 유가적 성인의 이미지와 그들의 계보는 어떤 궤적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서주시대 지상 세계의 개척자로 여겨졌던 우가 유가적 성현으로 변모하고 성왕의 계보에 편입되는 양상을 추적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가장 이른 시기의 우에 대한 언급으로 여겨지는 서주시기의 청동기 <빈공수(公盨)> 명문의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비주계(非周系) 방국의 세계관의 아이콘으로서 우의 모습이 제시한다. 이후 선진시기 유가류 문헌, 즉 『논어』, 『맹자』, 『순자』 그리고 『상서』에 보이는 우를 비교 검토하여 상이한 세계관의 아이콘들이 하나의 종적 계보로 통합되어 도통(道統)의 역사로 재편되는 과정을 확인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유교적 성왕으로 승화되어 전해지는 한 인물의 이미지는 사실 오랜 기간에 걸친 사상적 몸부림 속에서 변용된 뒤 고착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는 변화의 한 사례를 살펴본다.

    영어초록

    Pre-Qin texts associated ancient Chinese thoughts with history in an inseparable way. In particular, Confucian texts extolled ancient Chinese history. Shangshu (尙書), ‘Confucius edited,’ conveys the later people to exaltation ancient Chinese history which delineates matter-of-fact moral history. Furthermore, The people regarded Shangshu as a moral epitome and discovered principles in the text with which they resolved moral issues. However, the excavated texts reveal the historical state and king to differentiate from the popular legendary portrayals of the state and the king in Shangshu.
    For this reason,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this article trails the intellectual tendency in which Yu (禹) has been lionized and transformed from a pioneer who cultivated the primitive world to a sage king from the Western Zhou Dynasty to the later period, and finds out how the Confucian sage kings were portrayed and how their lineage was presented, Yao (堯), Shun (舜), and Yu (禹) in particular. I believe that this article, which examines the king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will add to something new that contributes to proving the image of the Confucian sage king who has been eulogized to the extent to be the legendary figure was formed over a long philosophical deb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