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A Study on Royal Wares Manufacturing System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0권 / 260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조선시대 왕실용 자기를 제작하는 沙器所는 당시 御膳을 담당하는 사옹원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두 가지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다. 첫째, 磁器를 제작하는 일은 吏曹가 아니라 工曹에 분장된 업무였다는 점, 둘째 사옹원 이전에 御膳을 담당하던 司膳署에는 사기소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조선초 사옹원에 관요가 설치되기까지 왕실용 자기의 제작과 관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옹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고, 고려말·조선초 왕실용 자기의 제작 체계에 대하여 몇 가지 새로운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고려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왕실재정의 고갈과 관제의 혼란 등 불안정한 정치 상황에서, 국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내시들이 왕실 의례나 왕실 재정 관사에서 사용되는 청자의 제작과 수취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고려말기 이러한 내시의 역할이 성중애마의 하나였던 사옹으로 이어져서, 사옹은 국왕의 직속 내시 기구로 內用甆器를 監造하고 조달하는 직무를 수행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사옹은 사옹방으로 吏曹에 편제되었다. 사옹방은 내시가 주축이 된 품계가 없는 왕실 직속 기구로서, 왕실용 자기의 제작과 관리에 관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왕실용 자기 제작에서 사옹방의 監造 기능과 친왕실적인 성격은 결국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 왕실 자기의 제작을 전담하는 沙器所가 설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사기소의 설치는 사옹방이 왕실용 자기의 監造 뿐만 아니라 製作까지 담당한다는 의미이다. 즉 자기의 제작비용이 국가 재정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정식 관리가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1467년에 사옹원이라는 정식 행정기구로 개편되고 녹관을 둔 이후에 국가재정으로 그릇을 만드는 관요로서의 사기소가 설치될 수 있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왕실용 자기의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監造인데, 즉 왕실용 자기의 제작을 감독할 수 있는 적임자는 왕실과 긴밀한 관계 속에 있는 內侍였다. 중국의 남송이나 명의 경우, 황실용 자기의 제작에서 내시는 그릇의 제작을 감독하는 監造官으로, 정식 행정처인 工部는 가마 설치·재료비·공장의 인건비 등 실제 제작 과정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조선은 중국과는 달리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서 監造와 製作을 모두 담당하는 특수한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황은 고려말기 경부터 왕실용 자기 제작에 관여했던 내시의 역할이 고려말 司饔과 조선초 사옹방으로 이어진 것이며, 사옹방의 監造 기능과 친왕실적인 성격은 결국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 왕실 자기의 제작을 전담하는 沙器所가 설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Sagiso, which were responsible for producing royal wares during the Joseon period, were established at the Saongwon (Office of Royal Cuisines) under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In relation to this historical fact, however, two problems can be pointed out: first, the work of manufacturing ceramic wares was undertaken not by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but by the Ministry of Public Works; second, the Saseonseo (Office of Royal Cuisines), which undertook the job of preparing royal food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Saongwon, did not run the Sagiso.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Saong (the palace attendants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 royal cuisine) who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oyal wares between the last days of Goryeo (subject at that time to Yuan intervention) and the early Joseon period when the gwanyo (official kilns) wer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Saongwon. The study also identifies several new facts regarding the system of manufacturing royal wares during this period.


    First, the possibility was explored that - amid the political instability prevalent during Goryeo's last days under Yuan intervention, including the exhaustion of the state’s finances and the disorderly official regulations – the Naesi (palace attendants in Goryeo period) who worked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 probably got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collection of the celadon that were used in royal ceremonies and royal administrative affairs.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ole of the Naesi in this matter was transferred to the Saong, one of the Seongjungaema (groups of officials work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 They, as the organization of Naesi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undertook the job of inspecting and procuring royal wares. Third, with the collapse of Goryeo and the founding of Joseon, the Saong were incorporated into the Saongbang (organization of Royal Cuisines) under the control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the Saongbang, an organization with no court ranking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was controlled by the eunuchs, undertook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oyal wares. Fourth, the Saongbang's function of inspecting royal wares and attending to the king closely eventual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at the Saongwon under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Fifth,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meant that the Saongbang undertook to not only inspect but also to manufacture royal wares. Likewise, given the fact that the state finances had to be properly managed in order to manufacture royal wares, an official management system was presumably essential. Thus, in 1467, the official agency known as the Saongwon was established and staffed with regular officials, while the sagiso were established as official kilns.


    In conclusion, insp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rocedure of manufacturing royal wares, and this function was undertaken by eunuchs who work in close attendance to the king. During the Chinese Southern Song and Ming dynasties, eunuchs were employed to inspect the manufacture of imperial wares, and the relevant Ministry of Public Works was responsible for the installation of kilns, material costs, labor costs of potters, and other frontline jobs. Joseon, however, unlike China, used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to undertake the inspection and manufacture of royal wares through the offices of the Saongwon. Likewise, this particular situation came about because the Naesi' role in the manufacture of royal wares was transferred to the Saong and the Saongbang between the last days of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aongbang's role in inspecting the manufacture of royal wares and its closeness to the king presumab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an offic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manufacturing royal wares under the Saongwon, which belonged to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