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도자의 용(龍)에 나타난 심미의식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Dragons Drawn on Joseon Ceramic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2.12
14P 미리보기
조선 도자의 용(龍)에 나타난 심미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8권 / 4호 / 127 ~ 140페이지
    · 저자명 : 박경희

    초록

    조선왕조 오백 년간의 정치, 사회의 변화 가운데서도자는 가장 한국적인 특징을 보인다. 중국으로부터영향을 받았지만 조선인의 취향에 맞는 멋과 실용성으로 발전하며 도자가 일상용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국가나 사대부들의 지대한 관심의 대상이되었다. 조선 도자에는 분청사기와 백자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백자에는 용의 그림이많이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다.
    여러 동물의 특징적인 무기와 기능을 고루 갖춘 용은 웅비와 비상, 그리고 희망의 상징동물인 동시에 지상 최대의 권위를 상징하는 동물로 숭배되어왔다. 이러한 용은 운행우시를 자유롭게 하는 수신, 불교의 호교자, 그리고 왕권을 수호하는 호국룡으서의 기능을발휘하면서 한국 문화의 중요한 모티프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심미의식이 잘 드러난조선도자에 그려진 용의 그림을 분석하여 동양미학과연계를 시도해 봄으로서 한국 도자미학이라는 새로운범주로의 가능성과, 현재 도예가들이 작업을 하는데있어 부족한 부분인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청화백자와철화백자에 그려진 용의 사진을 서적에서 수집하고,각 작품에 등장하는 용을 빈 공간과 구름과의 관계,표정에 나타난 특징, 용의 발과 여의주가 지니고 있는상징, 용의 모습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외의자료는 인터넷 사이트,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ㆍ출판물 등으로 조선시대 도자의 심미의식을 이해할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조선시대의 도자인 분청사기와 백자-항아리, 병, 연적, 필세 등의 기형(器形)에 등장하는 용의 모습을 구름, 용의 얼굴, 발의 숫자,여의주 등으로 세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동양미학의고전과 연계하여 해석해 보았다.
    조선도자에 나타난 용의 그림을 분석하고, 이것을동양미학과 연계해 본 결과 여백에서는 기(氣)의 미를, 용의 표정에서는 물화미(物化美)를, 용의 발에서는상징미(象徵美)를, 그리고 용의 모습에서는 교졸미(巧拙美)로의 심미적인 해석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도자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존재 가능성과, 현재 도예가들이 작업을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Seen from the political, social changes for five hundred years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the changes of ceramics show feature of Korea.
    Although impacted from China, but the development of style and practicality in life hav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gentry of the country or the subject of a great interest. Joseon ceramics can be classified into the buncheong wares and the white porcelain, and the dragon was drawn on the many white porcelains.
    The dragon, which has been believ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nimals with a variety of weapons and functions, has been worshiped for a symbol of animal of grandeur, innovative flying and hopes and at the same times a symbol of the authority of the ground-up animals. The dragon has become Korea’s great motif while functioning as the gardian which can control the clouds and the rain, and as the gardian for Buddism and the gardian for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urrent potters lacks for their work and the ceramic aesthetics as a new category of potentially by trying connecting this study and oriental aesthetic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icture of dragons on the Joseon ceramics.
    The research methods are the collecting of the pictures of the dragons on white porcelain, painted on the cheonghwa white porcelain with cheolhwa Joseon Dynasty from books and the analysis of the dragon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gon and the empty space of the cloud, and the features of the dragons’ expression, the symbols of the dragons’feet and Eui-Ju. Other information of Internet sites,books and publications, including papers and books,so that you can underst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Joseon Dynasty ceramics.
    The scope and content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drawing activities of dragons on buncheong wares and white porcelain-on pots, bottles,the keeper of water, in this study the dragons are analasized into the clouds, face, the number of feet,Eui-ju and interpretated connecting with the classic oriental aesthetics.
    This study had the conclusion that the attempt to analyze the asesthetic interpretation could be-from the figure of dragons in the Joseon ceramics into figure margins through the beauty of aura, into the beauty of dragon expression, into the beauty of the symbol, into the beauty of ingenuity. These attempts may be able to predict that the possibility of a new genre called ceramic aesthetics and current potters’important theoretical background to their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