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과 보험 (Death by Drug Use and Insurance in the U.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5.12
50P 미리보기
미국의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과 보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보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보험법연구 / 9권 / 2호 / 351 ~ 400페이지
    · 저자명 : 노일석

    초록

    미국에서는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이 최근에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유명 연예인들의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이 언론 매체에 보도될 때마다 엄청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켜 그 원인과 대책 등에 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최근에 몇 몇 주에서 오락용 마리화나 판매를 합법화 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치명적이 아닌 오락용 약물복용에 대해서는 상당히 관대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헤로인, 코카인, 모르핀 등의 치명적인 약물의 중독이나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은 사회 전체적으로 엄청난 문제를 야기하지만, 사망하는 본인이 상해보험의 피보험자인 경우 약물복용으로 인한 사망이 상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보험금지급여부가 결정되게 되고 그것은 여간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약물복용으로 인한 사망이 상해에 해당하는지는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고, 그것은 구체적 상황과 판단하는 자의 입장에 따라 그 결론이 달라질 수 있는 극히 난해한 문제이다.
    상해보험약관조항에 “우연한 수단“에 의한 신체훼손의 경우에만 상해성을 인정하는 규정을 둔 경우에는 ”자발적으로 마약 등을 복용하여 사망한 경우는 수단 자체가 우연한 것이 아니어서 상해가 아니다“라고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여지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 미국에서는 상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우연한 수단“을 요구하는 약관은 점점 사라지는 경향에 있고, 약관이 그러한 규정을 두더라도 그것을 무시하고 사망이라는 결과의 우연성만을 가지고 상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주된 입장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결과의 우연성“만을 가지고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이 상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면 그것은 그야말로 ”case by case“라고 할 정도로 구체적 상황이 중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약복용에 의한 사망이 상해에 해당하는지를 고찰함에 있어 Weil 판결에서의 ‘소수의견’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 일반적으로 상해성 판단의 합리적 기준이라고 판단되는 ‘Wickman 판결의 기준’에 비추어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의 상해성을 검토한 다음 구체적인 여러 판례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만약 약복용에 의한 사망이 상해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약관에서 그것을 면책으로 할 수 있는데, 그러한 면책조항의 내용이나 그 효력은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상해보험에서는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을 면책으로 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고, 그것을 면책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내용은 다양하고 통일된 것이 아니다. 특히 주 보험법상의 약복용 면책규정과 개별 보험회사의 약복용 면책약관이 충돌되어 후자가 전자보다 보험자에게 불리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주 보험법이 우선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법규정이나 약관의 해석 자체가 용이한 일은 아니다.
    본 논문은 미국의 약복용에 의한 사망에 관한 논의이나, 약복용에 사망의 상해성이나 면책약관에 관하여 살펴봄에 있어, ‘상해’를 “급격하고도, 우연한, 외래의 사고로 인한 신체의 손상”으로 정의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해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독일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지를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간단하게 덧붙이기로 한다. 본 문은 미국에서의 약복용에 의한 사망의 상해성에 관한 논의이긴 하나, 여기에서의 논의는 우리나라에서도 약복용으로 인한 사망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때 그것의 상해성 여부, 면책약관을 두는 경우 어떠한 내용이어야 할지를 논의함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the rate of poisoning deaths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on the rise. Drugs–both legal and illegal-cause the vast majority of poisoning deaths. Drug poisoning deaths can result from unintentional or intentional overdoses of a drug, being given the wrong drug in error, or taking a drug inadvertently. Over the past decade, the age-adjusste drug poisoning death rate nearly doubled. Since 2009, more people have died each year from drug poisoning than from motor vehicle crashes. In 2010, 78 % of drug poisoning death were unintentional, 14 % were suicides, and 8 % were of undetermined intent.
    Drug abuse and misuse deaths generally fall into three categories: (a) those involving illicit drugs, such as cocaine and heroine; (b) those involving the deliberate abuse or unintended or unlawful use of therapeutic medications; and (c) those involving overdoses of prescription drugs that were lawfully prescribed for the insured. These are not necessarily neat classifications, however, because drugs of various sorts may be mixed together or combined with alcohol with disastrous consequences.
    Courts have historically considered insuresd’ death attributable to overdoses of illegal drugs to be nonaccidental. or constituted self-inflicted injuries. These courts typically reason that the dangers of illicit drug use are well known and an insured’s death should be deeemed to be nonaccidental where an insured has deliberately exposed himself to a substantial and foreseeable risk of serious injury or death, even if death is neither certain nor intended to result. In Weil v. Federal Kempfer Life Insurance Co., the Court opted to retain the accidental means versus accidental results dichotomy. The Court concluded that the insured is not entitled to coverage for such an death under an ‘accidetnal means’ policy, because he or she should know that death is a common, natural or substantially likely result of such activity.
    In Wickman v. Northwestern National Insurance Co., the court used three-prong test. The court first analyzes the insured's reasonable expectations. If the insured did not expect to suffer an injury similar to that suffered, the court must “examine whether the suppositions which underlay that expectation were reasonable.” If the insured's suppositions are judged to be unreasonable, then the injuries will be deemed non-accidental.
    In determining the reasonableness of the insured's suppositions, the court should view matters from the insured's perspective and take into account the insured'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The first prong, therefore, is essentially subjective. Second, if the insured expected to survive, or if the court cannot ascertain the insured's subjective expectations because of insufficient evidence, then it should objectively analyze the insured's expectations. In this analysis, one must ask whether a reasonable person, with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insured, would have viewed the injury as highly likely to occur as a result of the insured's intentional conduct. The objective prong does not permit simplistic reasonable foreseeability analysis, as the requirement that a court consider whether the injury was “highly likely” makes clear.
    Drunk driving is a scourge. Most motor vehicle crashes are traceable to some failure of judgment that fully reveals its dangers only when it is too late. The fact that drunk drivers' deaths may be publicly perceived as senseless, as the natural cost of obvious negligence or recklessness, or as reprehensible acts of stupidity, does not mean that they are not accidental.
    Closely related to cases in which an insured overdoses on illegal drugs are those in which an insured knowingly abuses or misuses therapeutic medications or acquires or uses them unlawfully. Some courts see no material difference between illicit drug use and the knowing abuse of therapeutic drugs and deny coverage on the basis that insureds’ death are either nonaccidental or are intentionally self-inflicted. Other courts deny coverage based on drug exclusions.
    The final category of drug cases involves overdoses or lethal combinations of drugs that were lawfully prescribed for insureds or that were legally purchased over the counter. As with drug overdoses in other contexts, some courts have easily determined that the death of insureds in these cases are not accidental. More often, courts have denied coverage under exclusion for death caused by drugs except as prescribed by a physician. On the whole, however, courts have sided with beneficiaries in these cases at least as often as they have ruled for the insurers.
    The many disparate decisions concerning drug overdose death of all types as insurance accident are largely irreconcilable. Different courts often reach very different results on quite similar facts. Wickman test is a balanced analytical approach.
    Even if an insured’s death is determined to be accidental under the Wickman analysis, there still be no coverage if an exclusion applies. In drug overdoses or misuses cases, drug exclusions come into play. Although the exact language of exclusions varies, these exclusions typically provide that the policies in which they are incorporated do not cover “death caused by or resulting from the taking of any drug ‘unless taken on the advice of a physician,’ ‘unless administered on the advice of physician’, ‘except as prescribed by a physician’”. Such exclusions are easily applied to deny coverage in cases in which the insured consumed illicit drugs. In cases involving overdoses of therapeutic medications, phrases such as ‘unless administered on the advice of physician’ or’ except as prescribed by a physician’ must be understood to incorporate both the medication itself and the dos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험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