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리스 라만과 프랑수아 로쉬의 작업에 나타난 디지털 도구와 바이오미미크리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mimicry design & Digital methods in works of Joris Laarman and Francois Roch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6.02
12P 미리보기
요리스 라만과 프랑수아 로쉬의 작업에 나타난 디지털 도구와 바이오미미크리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1권 / 1호 / 43 ~ 54페이지
    · 저자명 : 박호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와 사회에 나타나는 많은 문제점들을 자연생태계를 모방하여 해결책을 찾아보려는 바이오 미미크리는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사실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 있어 이런 움직임은 최근의 동향이 아니라 가우디부터 프랭크로이드 라이드의 후기작업에 보여지는 자연을 모티브로 한 유기적 건축에 나타나 있다. 유기적건축이 형태적 특징을 모티브로 접근하는데 그쳤다면 바이오 미미크리는 조직과 작동방식, 심지어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방식에 까지 자연 생태계의 방식을 적용하려고 하는 움직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 미미크리가 디지털 도구를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와 건축물과 가구가 작동하는 방식까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있다.(연구방법) 바이오 미미크리를 이용해 의자의 형성 방식을 연구 적용한 네덜란드 디자이너 요리스 라만의 작업들과 건축의 작동방식에 있어 바이오미미크리 방식을 적용한 프랑스 건축가 프랑수아 로쉬의 작업을 재현, 생성, 제작의 관점에서 디지털 도구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생명체 모방, 생명체 행동 모방, 생태계 모방의 바이오 미미크리 레벨에 따라 형태, 재료, 진화, 위장, 성장(쇠퇴), 정화의 키워드로 분석 하였다. (결과) 요리스 라만은 형태 생성 도구로서 애니메이션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반면 프랑수아 로쉬는 재현을 위한 시각화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작에 있어 두 작가 모두 3D 프린터와 CNC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의 기술 수준이 충분치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바이오 미미크리 레벨에 있어 라만은 이상적인 형태와 그 형태 생성과정에 주목하고 있어 생명체 모방(형태)과 생명체 행동 모방(진화)의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로쉬의 경우 생명체 모방(재료), 생명체 행동 모방(위장), 생태계 모방(성장, 정화)까지 포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결론) 라만과 로쉬의 작업을 분석한 결과 형태와 기능에 중점을 두었던 디자인과 건축 분야에 있어 생명체의 형태 진화과정이 디자인의 과정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인간에 의해 계획되어진 건축물이 자연에 의해 변화되고 궁극에는 환경과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생명체의 행동모방과 생태계모방 레벨에서는 공학적인 접근이 많이 되어 왔으나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 디자인 접근 방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가치는 두 작가의 작품 분석을 통해 바이오 미미크리 건축과 디자인이 형태의 모방을 넘어 생명체의 행동과 생태계를 모방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는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디지털 도구가 재현을 넘어 형태의 생성과 제작의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Biomimicry, an approach to seek solutions to several challenges faced by modern cities and society, has been applied in varied fields. In fact, it is not a new tren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design. Gaudi and Frank Lloyd Wright have conceived organic architecture, which uses nature-inspired forms in design. However, organic architecture was limited to mimicking forms of nature. In contrast, biomimicry is an approach that imitates nature of the system, functioning, and even the way it produces and disappea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biomimicry to architecture and furniture design through digital methods. (Method) The works of Joris Laarman, who designed a chair based on the generative process of bones, and the works of Francois Roche, who applied the method of nature representing his architecture, were analyzed by using digital tools in terms of 'representation', 'generation' and 'manufacturing'. In terms of level 3 of Biomimicry (Organism, Behavior, Ecosystem), form, material, evolution, camouflage, (de) growing, and purifying were used as key words for analysis. (Results) Joris Laarman uses digital animation as a form-finding tool but Francois Roche uses digital tools for representation of a building. In manufacturing, 3D printing and CNC machine were used in a limited way due to technical constraints. Laarman focused on the ideal form and form making process. Therefore, his works are at the organism (form) and behavior (evolution) level. Roche's works are spread at all the three levels: organic level (material), behavior level (camouflage), and ecosystem level ((de)growing, purifying). (Conclusions) Through analysis, a new viewpoint emerges that the evolution process uses the design method and man-made buildings become a part of the natural environment naturally, in contrast to modern architecture, which focuses on form and function. In addition, a technical approach was used in behavior and at the ecosystem level during application of biomimicry in the area of architecture and design, but Laarman and Roche reveal possibilities of design approach. The value of this research is in depicting the design method as a tool for developing imitation of behavior and ecosystem rather than just a form of mimicking; in order to do so digital technology should be used as a tool for form finding and manufacturing rather than just a tool for repres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