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교적 시각에서 바라본 대행선사의 법어 -한마음요전』을 중심으로- (Dharma Talks of Seon Master Daehaeng Seen from Esoteric Buddhism: Focused on The Principles of One Mind [Hanmaum Yojeo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8
46P 미리보기
밀교적 시각에서 바라본 대행선사의 법어 -한마음요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마음연구 / 7권 / 137 ~ 182페이지
    · 저자명 : 강대현

    초록

    본고에서는 대행선사의 법어집 『한마음요전』에 나타난 요의를 크게 두 가지의 밀교적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우선 선사의 법어에는 철저한 스스로의 통찰을 통한 살아있는 법어, 현실적 소재를 통한 실천행의 법어, 대중을 위한 신속한 처방적 법어 등의 특징을 내포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하여 선사의 법어가 함축하고 있는 『대일경』의 삼구법문, 즉 일체지지를 성취하는 원리로서의 삼구의 교설을 엿볼 수 있었고, 선사의 법성 그 자체로서의 ‘주인공’에서 밀교 오지의 하나인 법계체성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밀교의 삼구법문은 “보리심이 원인이 되고, 대비가 근본이 되며, 방편이 구경이 된다.”는 것이다. 대행선사의 법어에는 시종일관 이러한 삼구의 교설이 바탕이 되어 설법되고 있었다. 그리고 밀교의 오지 중 법계체성지는 우주에 편만한 주객 내지 심색 모두가 진여자성임을 말하는 수승한 지혜를 말한다. 즉 청정법신 비로자나여래의 있는 그대로의 양상인 것이다. 선사의 ‘주인공’ 또한 그대로의 부족함이 없는 존재, 본래 성불되어져 있는 존재로서 이는 법계체성지와 다를 바 없는 법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인공’은 본체로서 시방삼세가 하나이고, 형상은 무한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작용은 내 마음에 비롯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into essential points contained in the collected Dharma talks of Seon Master Daehaeng titled The Principles of One Mind [Hanmaum Yojeon], largely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Buddhism’s esoteric school. To begin with, Daehaeng’s Dharma talks had three characteristics: words full of life based on her own thorough insight; actionable teachings based on her selection of practical topics; and quick prescriptive words to give people relief from their problems. These three characteristics reflect the three-phrase teachings of the Mahāvairocana Sūtra, which is a teaching given in three phrases to describe the principles to attain omniscience (sarvajñājñāna). In addition, the concept of Juingong, which is the inherent Dharma nature of Seon Master Daehaeng, connotes “Dharmadhatu Wisdom” (dharmadhātu-prakṛti-jñāna), one of the five kinds of wisdom taught in the esoteric school of Buddhism. The three-phrase teaching of the esoteric school is: “Bodhi mind becomes the cause, great compassion the foundation, and skillful means the ultimate.” Seon Master Daehaeng’s Dharma talks were constantly given from the foundation of this three-phrase teaching. And Dharmadhatu Wisdom represents the sublime wisdom that subject (he who perceives) and object (that which is perceived) or mind and form, which permeate the universe, are all the true nature of things as they are. In other words, they represent the pure Dharma body of Vairocana Buddha as it is. The Juingong also lacks nothing as it is, and has inherent Buddhahood, which can also be considered as “Dharma nature” and no different form Dharmadhatu Wisdom. Therefore, this Juingong is the original essence in which the worlds of the “ten directions and three times (past, present, future)” are one; where form manifests in limitless ways, and where function arises from one’s own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마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