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북도 어업노동요의 분포와 음악 특징 (Distribut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fishing labor songs in Jeollabuk-do)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12
46P 미리보기
전라북도 어업노동요의 분포와 음악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72권 / 9 ~ 54페이지
    · 저자명 : 신은주

    초록

    전라북도 지역은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 지대임과 동시에 대단위 어장이 형성되며 어업이 발달하였던 곳으로, 예로부터 다양한 어업노동요가 불렸다. 그러나 그간 전북 지역의 어업노동요는 들소리에 밀려 주목받지 못하였고, 음악적인 연구는 더욱 미진하였다. 어종의 변화 및 간척사업 등으로 어업이 쇠퇴하고, 어업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더 이상 어업노동요가 불리지 않으며, 어업노동요를 할 줄 아는 이들도 거의 없는 상황에서, 본고는 전북 지역에서 기채록된 자료를 활용하여 이 지역의 어업노동요 분포와 음악 특징을 살펴보았다.
    전라북도 지역에서 채록된 어로요의 가창 형태는 대개 선후창으로, <닻줄당기는소리>, <노젓는소리>, <그물당기는소리>, <고기푸는소리>는 3소박 2박을 기본 박자로 하여 선창과 후창이 주고받되, <노젓는소리>와 <그물당기는소리>는 선창과 후창이 각각 길게 소리를 연장하여 선후창이 겹쳐 불리기도 한다. <배치기소리>와 <줄꼬는소리>, <줄메고가는소리>는 3소박 4박을 기본 박자 구조로 선후창이 주고받는다.
    <노젓는소리>의 선율에는 메나리토리가 주로 사용되며, 메나리토리에 육자배기토리가 섞인 형태 및 시김새 사용이 거의 없는 육자배기토리로 선율을 구사하기도 한다. <그물당기는소리>와 <고기푸는소리>는 대체로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하여 선율을 구성하나, ‘미’음에 떠는 요성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도^시’의 꺾는 시김새 또한 강하게 꺾어내지 않고 ‘도’음을 부드럽게 흘리는 형태로서, 육자배기토리의 느낌이 강하지 않다. 서해안 지역에서 흔히 불리는 반수심가토리의 <배치기소리>가 이 지역에서도 불리는데, 지역에 따라 또는 가창자에 따라 음이 유동적이다. <줄꼬는소리>는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하되 ‘미’를 떨지 않고 ‘도’는 부드럽게 흘려내며, <줄메고가는소리>는 독특하게 경토리로 선율을 이룬다.
    즉, 전라북도 지역 어업노동요의 토리 사용은 <배치기소리>에서 반수심가토리, <줄메고가는소리>에서 경토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대체로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 및 두 토리가 섞인 형태가 나타난다. 다만, 육자배기토리에서 시김새가 두드러지지 않음으로서 육자배기토리의 느낌이 강하지 않은 것이 이 지역 어업노동요의 토리적 특징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Jeollabuk-do region is not only Korea’s largest granary region, but also a place where large-scale fishing grounds were formed and the fishing industry developed. In the Jeonbuk region, various fishing labor songs have been sung, but they have not received as much attention as agricultural labor songs, and musical research on fishing labor songs has been very limited. Today, fishing labor songs are no longer sung in this region as the fishing industry has declined due to changes in fish species and land reclamation projects, and as fishing methods have changed. Accordingly, this study used already recorded data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fishing labor songs in this region.
    The singing style of fishing labor songs in the Jeonbuk region generally consists of the call and response Singing. These folk songs are exchanged with the call and response singing of 3 simple beats and 2 beats each. In <Song of Rowing> and <Song of Net Pulling>, the melody is extended longer, and the call and response sometimes appear at the same time. The basic beat structure of <Baechigi song>, <Rope twisting song>, and <Rope carrying song> is 3 small beats and 4 beats.
    The melody of <Rowing Song> is composed of menari-tori, or a mixture of menari-tori and yukjabaegi-tori. <Song of Pulling a Net> and <Song of scooping up fish> uses the Yukjabaegi-tori to compose the melody, but the tteoneun-mok(vibrato) is rarely used and the kkeokkneun-mok is not strong or fast, but flows smoothly. Therefore, the feeling of Yukjabaegi-tori is not clearly expressed in this song. Bansusimga-tori’s <Baechigi song>, which is commonly sung in the west coast region, is also sung in this region, but the note is fluid depending on the region or singer. <The song of twisting a string> is composed of a melody using Yukjabaegi-tori, but the tteoneun-mok is not used, but the kkeokkneun-mok flows softly. <The Song of Carrying a Rope> uniquely uses Gyeongtori to create a melody.
    In other words, fishing labor songs in the Jeonbuk region generally use menari-tori and yukjabaegi-tori, and sometimes a mixture of the two tori appears. However, the tteoneun-mok of Yukjabaegi-tori is rarely used, and the kkeokkneun-mok is sung as if flowing softly, so the feeling of Yukjabaegi-tori is not strong,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fishing labor songs in this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