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산대사의 「심법요초(心法要抄)」에 관한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f Shimbubyocho(心法要抄) Written by Buddhist Master Seosan(西山大師))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12
25P 미리보기
서산대사의 「심법요초(心法要抄)」에 관한 서지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3호 / 179 ~ 203페이지
    · 저자명 : 송정숙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서산대사가 저술한 「심법요초」를 중심으로 저자인 휴정의 생애와 저술, 「심법요초」의 간행자와 간행처, 판본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법요초」의 저자인 서산대사는 조선중기의 유불을 통섭한 승려로서 국가의 위기를 구하기 위해 전장으로 나선 행동하는 지식인이다.
    현전하는 「심법요초」는 안심사판본과 해인사판본의 2종이 전하는데, 간행에 관해서는 간기가 있는 안심사판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안심사판 「심법요초」의 서문과 발문을 보면, 「심법요초」가 세상에 전해져서 간행되는 데에 기여한 사람은 ① 서산의 저술인 「심법요초」를 보관하여 남긴 소요 태능(逍遙 太能), ② 그 가치를 알아보고 유포하고자 한 목양 색(牧羊 賾), ③ 목양 색을 도와서 「심법요초」를 간행한 추계 유문(秋溪 有文), ④ 「심법요초」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서문을 썼던 백곡 처능(白谷 處能)의 4인이다. 이들의 법계를 보면, 4인 모두 임제종파의 벽송 지엄(碧松 智嚴)과 부용 영관(芙蓉 靈觀)의 계통을 잇는 청허계나 부휴계의 영향력 있는 승려였다.
    안심사판 「심법요초」는 “時甲辰菊月日大芚山安心寺新刊留置”라고 간기에 기록되어 있듯이, 전라도 고산의 대둔산 안심사에서 1664년에 간행되었다. 안심사에서 활동했던 백곡 처능이 안심사를 중흥하고자 우의정 김석주에게 <안심사 사적비>의 비문을 받으러 갔으며, 한편으로는 당시 사회적으로 명망이 높았던 서산의 「심법요초」 간행을 지원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현전하는 「심법요초」 안심사판본과 해인사판본은 둘 다 목판본으로 판식, 편차, 부록의 내용이 상이한 이본이다. 안심사판본과 비교할 때, 해인사판본은 부록에 서산대사의 시 대신에 사명대사와 완허당의 글이 실려 있다. 이로 미루어 해인사판본은 서산의 여러 문파 가운데 사명파에서 인출한 것으로 추측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and works of Hyujung(休靜) and focuses on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Shimbubyocho(心法要抄), written by Buddhist Master Seosan(西山大師). Through this focus, the study analyzes the life and works of author Hyujung(休靜).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Buddhist Master Seosan was a monk who made consili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one of the active intellectuals who went into battle in order to rally against the crisis facing his nation.
    The existing editions of the Shimbubyocho were published at Anshim Temple(安心寺) in 1664 and at Haein Temple(海印寺).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the edition from Anshim Temple, especially in relation to publishing aspects, as the Haein Temple edition doesn’t have any information in regards to publishing. As referenced in the preface and postface of the Shimbubyocho, there are four people who contributed to its publication: Soyo Taeneung(逍遙 太能), Mokyang Saek(牧羊 賾), Choogye Yoomoon(秋溪 有文) and Baekgok Cheoneung(白谷 處能). These monks share a Buddhist lineage, connected to the mentors of Imjejong(臨濟宗), Byeoksong Jieom(碧松 智嚴) and Booyong Younggwan(芙蓉 靈觀). This is indicative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our masters.
    The existing editions of the Shimbubyocho, that of Anshim Temple and that of Haein Temple, are both woodblock editions and these two editions have different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note, as the Haein Temple edition also features the texts of Seosan and Wanheodang(玩虛堂), it appears that the Buddhist lineage of Samyeong was revealed, at that time, through the publishing of the Haein Temple e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