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진경산수화 관련 학설의 충돌과 분기-진경시대・진경문화론과 국내외 연구 경향 검토 (Conflicts and Divergences in Theories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in Late Chosŏn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조선후기 진경산수화 관련 학설의 충돌과 분기-진경시대・진경문화론과 국내외 연구 경향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71호 / 205 ~ 240페이지
    · 저자명 : 정다운

    초록

    본 연구는 진경시대・진경문화론을 중심으로 진경산수화 관련 학설이 발전하고 충돌하며 분기한 양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경산수화는 대중적으로는 자랑스러운 민족문화로서 확고한 위상을 누리고 있지만 학문적으로는 논쟁의 중심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논쟁을 촉발한 것은 바로 진경시대・진경문화론이었다. 최완수 등이 주창한 진경시대론은 해방 이래 식민사관의 극복을 목적으로 경주한 한국학계의 성과물이었다. 조선후기를 진경산수화와 같이 조선의 고유색을 드러낸 문화의 절정기로 보고, 그 기반을 조선성리학과 조선중화주의 및 그에서 기인한 자주의식으로 설명하였다.
    진경시대・진경문화론의 등장 직후 미술사학계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반론이 일어났다. 주체적인 민족문화를 정립하겠다는 신념이 학문적 객관성보다 우선한 것, 그리고해당 학설이 조선후기의 다양한 문화적 실상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 결과 2000년대 이후 진경산수화 연구는 진경시대론과 유사한 결을 지닌 연구와 이를 비판하는 연구로 나뉘며 그 대상과 범주가 확장되었다. 영미권 학계의 경우도 사실상 국내 미술사학계의 자장 내에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이를 고려할 때, 학설적 한계가 분명한 진경시대론이지만, 학술적 논쟁의 계기를 마련하고 진경산수화 연구의 다양한 분화를 촉발한 데서 그 사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진경산수화 연구는 기존 연구 풍토에 대한 반성과 함께 연구의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있다. 식민지기 진경산수화 담론의 형성 과정을 살핀 연구, 진경산수화의 기록화적 성격이나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성격에 주목한 연구, 또한 진경산수화를 엘리트층의 사회경제적 욕망과 연결한 연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앞으로의 진경산수화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근대민족문화 담론 연구로의 확장, 진경산수화・실경산수화 등 학술 용어에 대한 논의와 고찰, 미술사학과 역사학 간의 학제적 연구, 그리고 동아시아적 맥락을 고려하는 관점의변화를 통해서 한국미술사 연구의 지평을 더욱 넓혀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ories related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developed, conflicted, and diverged, with a focus on the theory of Chin'gyŏngshidae(Chin'gyŏng era) or Chin'gyŏngmunhwa (Chin'gyŏng culture). While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enjoy a firm status as proud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popular understanding, they have been at the center of academic debates. The Chin'gyŏngshidae theory, which triggered these debates, represents an academic achievement by Korean scholars who strove to overcome colonial historiography. It regarded the late Chosŏn period as the pinnacle of culture that revealed Korea's unique characteristics, as exemplified by True-View landscapes, and explained its foundation through Chosŏn Neo-Confucianism, the ideology of Chosŏn Zhonghua(朝鮮中華), and the resulting consciousness of autonomy.
    However, shortly after the emergence of the Chin'gyŏngshidae theory, counterarguments arose, particularly in art history circles. These criticisms focused on how the belief in establishing an autonomous national culture took precedence over academic objectivity, and how the theory failed to properly capture the diverse cultural realities of the late Chosŏn. As a result, since the 2000s, research on True-View landscape painting has split into two streams: studies that align with or adopt a similar stance to the Chin'gyŏngshidae theory and those that criticize it. The situation was similar in Western academia, which largely operated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 art history circles.
    Recently, True-View landscapes research, critical of the Chin'gyŏngshidae theory, has been expanding its spectrum while reflecting critically on existing research approaches. Examples include studies examining the formation of True-View landscapes discour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search focusing on True-View paintings' role as media conveying political messages and socioeconomic desires of the elite class. These studies suggest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research.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horizons of Korean art history research through: expanding into studies of modern ethno-national culture discourse, conducting in-depth examination of academic terminology such as ‘True-View’ and ‘Real- Scenery’ landscapes, pursu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art history and history, and considering the East Asian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