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평양 장안성의 외성 내 격자형 구획과 도시 형태에 대한 신검토 (A New Study of the Grid-type Section and the Shape of the City in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Pyongyang, Goguryeo)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8.03
31P 미리보기
고구려 평양 장안성의 외성 내 격자형 구획과 도시 형태에 대한 신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60권 / 221 ~ 251페이지
    · 저자명 : 기경량

    초록

    고구려 평양 장안성은 외곽 둘레 약 17.4km, 안쪽 성벽의 길이까지 더할 경우 전체 길이 약 23km에 달하는 거대한 도성이다. 장안성은 북성ㆍ내성ㆍ중성ㆍ외성의 4개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중 외성의 경우는 성벽 안쪽 공간에 격자형의 구획이 이루어져 있어 오래 전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유적에 대한접근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연구에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그려진 평양 지역 고지도와 GIS 및 위성사진에 기반하고 있는 구글 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의 조사 내용이 상세하게 반영된 「平壤城址及遺存石表圖」(1929)라는 지도를 구글 어스로 불러들여 장안성 형태 복원에 이용하였고, 프로그램 상에서 거리와 면적 등의 실측이 가능하도록조작하였다.
    장안성 외성의 격자형 구획과 관련하여 연구 상에 혼선이 발생하고 있는 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정양문과 함구문 사이의 동서 구간이 3개 구역인가 4개 구역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장안성 외성의 격자식 구획의 형태가 정사각형인가, 가로가 긴 직사각형인가 하는 문제이다.
    정양문과 함구문 사이의 동서 구간은 조선시대 그려진 고지도와의 교차 검증을 통해 4개 구역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장안성 외성의 격자형 구획 형태에 대해서는 그간 ①정사각형설과 ②직사각형설, 그리고 ③ 정사각형ㆍ직사각형 혼합설의 세 개의 설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중 가장 뒷 시기에 제시된 정사각형ㆍ직사각형 혼합설이 최근까지 널리 수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구글 어스 상에서의 실측 결과 이는 정양문과 함구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였던 데서 발생한 오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는 외성 내의 모든 공간이 일관되게 정사각형으로 구획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외성의 도로폭은 세키노 다다시가 남긴 석표 간의 실측 수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복원하였다. 그 결과대로 폭의 평균은 14.989m, 중로 폭의 평균은 4.823m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구려척으로 환산할 경우 각각 40 척과 14척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정사각형 형태의 주거 구역은 한 변의 길이가 177.08m로서, 이는 고구려척으로 500척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Jang-an Fortress, Pyongyang, Goguryeo is a huge wall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about 17.4km, which reaches a length about 23km if the length of the inner rampart is added. Jang-an Fortress was divided into four spaces, including the north fort, the inner fort, the central fort and the outer fort. Of them, the outer fort, consisting of a grid-type section in the space inside the rampart had become an object of concern since long ago.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research due to the difficulty in accessing to the relics. To overcome this, an old map of the Pyongyang area dra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Google Earth based on GIS and satellite photography. Especially, the Diagram of the Remaining Stone Mark in the Pyongyang Fortress Site, 「平壤城址及遺存石表圖」(1929), a map where the details of Sekino Tadashi’s (關野貞) surve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reflected in detail was retrieved by Google Earth and us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shape of Jang-an Fortress, and manipulated so that the distance and the area could be actually measured on the program.
    Broadly, there are two confusions in research concerning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First, whether there are three or four areas in the east-west section between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Second, whether the shape of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is a square or a rectangle with a long width.
    It was found that the east-west section between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Gate consisted of four areas through cross-validation with the old map dra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Concerning the shape of the grid-type section of the outer fort of Jang-an Fortress, three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including ① the “square” theory; ② the “rectangle” theory; and ③ the “mixture of square and rectangle” theory. Of them, the mixture of square and rectangle theory presented the latest has recently been widely accepted. And yet, as a result of an actual survey on Google Earth, it seems that it was an error because the exact locations of Jeongyang-mun Gate and Hamgu-mun Gate were not understood well. In fact, it is judged that all spaces of the outer fort were consistently divided into a square.
    The road width of the outer fort was restored, actively utilizing the values actually measured between the stone marks left by Sekino Tadashi.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the width of the main road was 14.989m, while that of the medium road was 4.823m. If these are converted to Goguryeo cheok (Measurement system), they correspond to 40 cheok and 14 cheok, respectively. For the residential area in a square shape, the length of one side is 177.08m, which corresponds to 500 cheok in Goguryeo che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