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25 피난 공간의 문화적 의미- 황순원의 「곡예사」 외 3편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Meaning of the 6·25 Refuge Space - Focused on Hwang Sun-won's The Acrobat and three other Piec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1.03
27P 미리보기
6․25 피난 공간의 문화적 의미- 황순원의 「곡예사」 외 3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39호 / 106 ~ 132페이지
    · 저자명 : 박덕규

    초록

    한국은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발발한 6⋅25전쟁으로 300만 명 이상이 죽거나 다치고 국토의 80% 이상이 파괴되는 등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후에도 남북한은 기아, 이산, 가난, 교전, 첩자 침투, 이념 갈등, 주민 이탈과 유입 등의 후유증을 겪으며 60년 넘는 기간을 분단국가로 지내왔다. 한국문학은 6⋅25전쟁으로 빚어진 이러한 국가적, 민족적 갈등을 소재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분단 소재 소설을 낳았다. 6⋅25 이후 특히 한국소설사는 전쟁과 분단을 주제와 소재로 한 이들 ‘분단소설’이 거대한 축을 이루며 형성되어 왔다고 평가된다.
    이들 분단소설은 1)전쟁기 2)분단 심화기 3)분단 체제 와해기 등의 시기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작품세계를 보여왔다. 이 중에서 1)의 전쟁기의 극한적인 경험을 소재로 한 다수의 분단소설은 남북 분단의 근원을 성찰하게 하는 문학작품으로 주목을 요한다. 이들 소설의 공간적 배경은 1)광복 후 이념이 대립되던 주거지 2)6⋅25 전쟁터 3)포로수용소 4)피난지 5)점령군 치하 미피난지 6)빨치산 활동지 7) 수복지와 새로운 정착지 등이다.
    분단 시대 한국소설사를 대표하는 작가 황순원은 이북 태생으로 남북 분단을 즈음해 남하한 월남인 가족 출신으로 6⋅25전쟁 때 두 차례 피난을 경험했고, 이 같은 체험을 직접 작품에 반영해 빼어난 단편소설을 남겼다. 첫 번째 피난에 관련한 「참외」와 두 번째 피난 체험을 다룬 「메리 크리스마스」,「곡예사」,「아이들」,「어둠속에 찍힌 판화」 등이 작가 자신이 직접 겪은 피난 체험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소설이다.
    「곡예사」등 4편은 부산, 대구 등 피난지를 무대로 하고 있는데, 다른 분단 소재 작품과 달리 작가 자신의 피난 체험을 ‘픽션’ 없이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히 주목된다. 작가는 이 작품들을 통해 전쟁으로 집을 두고 재산도 지니지 못한 채 피난지에서 남의 집 헛간 같은 데서 살아야 했던 자신의 치욕적인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그 중 「곡예사」는 피난 체험을 구체적으로 다룬 소설 중에서 “가장 감동적인 완벽한 단편”(유종호)으로 평가되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을 쓰면서 피난민 가족을 이끄는 무력한 가장으로서의 자신의 심정을 ‘반감, 증오심, 분노’ 등으로 드러낸 바 있다.(『곡예사』 ‘책 끝에’) 이 ‘분노’의 감정은 실제 피난 공간이자 작품의 무대에 대한 구체적 감각과 더불어 이해될 때 더욱 의미가 깊어진다.
    대구와 부산은 6⋅25 때 피난민이 몰려와 지내던 곳이다. 피난민이 살던 흔적 자체가 그러하거니와, 그 중에서도 식솔을 거느리고 대구로 부산으로 피난 생활을 하면서 교사 생활을 하고 쉼 없이 작품 활동을 한 황순원의 문학공간은 전쟁의 치욕과 분단의 비극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게 하고 평화와 화해, 화합과 융합으로 가는 거점으로 이해해야 마땅하다.

    영어초록

    The South Korea had suffered massive damage such as more than three million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with the destruction of more than 80% of our territory on the ground of the outbreak of war provoked by the North Korea on June 25th, 1950. Since then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been a divided country for more than 60years and have been suffering from aftereffect such as hunger, poverty, separation, engagement, spy infiltration, ideological conflict, and residential flight and influx etc.. Korean literature bore various types of division material novels which are based on national and ethnic conflicts derived from the Korean war. It is evaluat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novel has been formed as 'the fiction of Korean division' based on war and division in composing a massive axis.
    Meanwhile, the fiction of Korean division has been published in a various types as time advanced 1) the time of the war 2) the division deepened 3) the downfall of the division system. Among these, a large number of novels based on extreme experience resulted from the rapid social changes in the background of 1) the time of the war require more attention as the novels which make people reflect the source of division.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se novels is 1) residential areas where the ideal is opposed after independence, 2) 6·25battlefields, 3) POW camps, 4) refuge areas, 5) unsafe places under the occupation forces, 6) partisan field, 7) a reclaimed area and new settlements, etc..
    Hwang sun-won, who represents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at the age of division, is from the North. And he moved southward with his family due to the war and experienced refuge twice and wrote eminent short stories which his experience is reflected on. His first refuge experience is hinted in 「An Oriental Melon」and his second refuge experience is embodied concretely in 「Merry Christmas 」, 「The Acrobat」,「The Children」,「An Engraving Printed in the Dark」.
    「The Acrobat」and 4 pieces show Pusan, Daegu, etc., the places of refuge, as their main background and the writer's own refuge experience is composed without any fiction unlike other division material works, therefore it's especially more noticeable. The writer shows his stigmatic situation, living in a crude sort of barn , having no property due to the war through these works. One of them, 「The Acrobat」is evaluated "the most impressive and the most perfect short story"(Ryu, Jong-ho). The writer ever reveals his feeling as a powerless head of household with 'resentment, hatred, anger, etc.'. (The Acrobat, at the end of the book' ) This feeling of 'resentment' gets more deepened when it's understood along with specific sense about the stage of the work, which is the actual refuge space.
    Daegu and Pusan are the places where the refugees came in flocks at the war of 6·25. Just like trail itself as refugees lived, especially Hwang Sun-Won ever worked as a teacher and wrote without pause while living in Daegu or Busan for shelter with his family. And his literary space makes the shame and the tragedy of the war be reflected and should be comprehended as a foothold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unity and converg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