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군(皇軍)의 사랑, 왜 병사가 아니라 그녀가 죽는가 -<조선해협>, 기다림의 멜로드라마- (The Imperial Solider's Love, Why not a solider but she who died? -, Melodrama of Waiting-)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1.06
41P 미리보기
황군(皇軍)의 사랑, 왜 병사가 아니라 그녀가 죽는가 -&lt;조선해협&gt;, 기다림의 멜로드라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5호 / 197 ~ 237페이지
    · 저자명 : 이영재

    초록

    1943년 선전영화로서는 완전히 실패했다고 평가된 한 편의 영화가 조선의모든 선전영화를 능가하는 놀라운 흥행성공을 거두었다. 혼인장애를 극복하기위해 지원병으로 떠나는 남자와 그를 기다리는 여자의 이야기로 이루어진<조선해협>은 현 시국과 맞지 않는 구태의연한 이야기라고 맹렬히 비난받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만 경성시민을 울렸다. 이 글에서 밝히고자 하는것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 이미 조선에서의 징병제 시행이 결정된 1943년이라는 시간에 왜 우리는 여전히 지원병의 이야기와 마주칠 수밖에 없는가. 이지원은 심지어 그 어떤 대의를 위해서도 아닌 단지 개인의 사사로운 이유로인해 이루어진다. 두 번째, 이 영화는 193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 파이를 키워나가야 했던 조선영화가 그토록 염원해오던 여성 ‘스타’를 기다리는 여자 문예봉의 서사에 집중시킴으로써 달성해낸다. <조선해협>은 명백히 총후부인의서사이지만, 중요한 것은 바로 그 속에서 ‘기다리는 여자’라는 이미지가 완성된다는 점이다. 징병제와 의무교육 그리고 참정권이 근대국가의 세 원리라고한다면 조선 최초의 징병제를 예고하는 이 순간은 새로운 ‘국민’들을 일거에이 원리 앞에 직면시킨다. 그러나 이곳이 식민지인 한에 있어서 이 근대국가의원리는 결코 자연화될 수 없다. 이들은 매번 스스로의 자발성을 입증해야 하는데, 이 행위가 요구됨으로써, 피식민지인에게 부여된 징병이라는 상황은 징병제와 보통선거와 의무교육이 함께 도착한 순간을, 근대국가의 성립의 순간을거듭 되풀이해서 재현해낸다. 따라서 이 반복재현 속에서 ‘피로써 조국을 지킨다’는 일은 매번 ‘의식적인 행위’가 된다. 1943년이라는 시간에 도착한 영화<조선해협>은 바로 이 징병제-국민국가-식민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잔혹한모순을 보여준다. 한편 징병제에 기초한 국민국가의 기획이 작동하는 그곳에서 여성 ‘또한’ 이 기획에 참여해야 한다. 요컨대 그녀는 ‘기다리는 자’의 역할을 통해서 국민이 된다. 그런데 이 눈물의 멜로드라마는 바로 그 눈물 때문에1943년이라는 시간에 맞서는 일종의 감정의 진지를 구축해내고 있다.

    영어초록

    In 1943, one film that had been commented as a total failure as a propaganda film achieved a box office success in Chosun, surpassing the previous propaganda films' records. This film <Straits of Chosun> had been fiercely criticized because of its obsolete story line-with a volunteer soldier who escaped from the matter of marriage obstacle and a girl who waited for his return-which was far apart from the state of affairs in 1943in Chosun. Nevertheless, the film made one million of people in Keijyo have tears on them.
    In this essay, I focus on following two matters. First, why the film still deal with the story of a volunteer solider? I am asking this on the ground that enforcing a conscription was already decided in 1943 when the film was made. Selective service was made not only because of a great cause for the Imperial but also because of private reason such as marriage obstacle. Second, the success of the film was associated with the birth of a 'female star' in Chosun. This was a long-cherished desire for Chosun's film industry to increase the stakes of the film market in Chosun. What is more important here is the fact that the female star represented a character of 'waiting girl'.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sure that <Straits of Chosun> is a story of Chonghu Buin(統後婦人),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image of 'waiting girl' was created through the film.
    Considering the principals of nation state, which were conscription,compulsory education, and suffrage, the scene of conscription in the film made new born 'people' of a modern nation face those principals.
    However, the principals of modern nation could never be naturalized because Chosun was a colony. Therefore, the colonized should prove their spontaneities when it comes to conscription. As doing so, conscription for the colonized reminded them the principals of modern nation repeatedly.
    In this continual reproduction, the cause of conscription 'save the country by blood' turned into 'conscious conduct'. In 1943, the film <Straits of Chosun> showed this contradiction emerging among conscription, a nation-state, and a colony. Meanwhile, women should take a certain part in this modern nation's project that is based on conscription; she became one of subjects by performing a role of 'waiting gir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