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은 왜 배우는가?: 미술표현 지도를 통한 학습자의 미술에 관한 인식 변화 (What Is the Reason for Learning Art?: Changes of Learner’s Recognition on Art through Art Expression Teaching)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8
16P 미리보기
미술은 왜 배우는가?: 미술표현 지도를 통한 학습자의 미술에 관한 인식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15호 / 575 ~ 590페이지
    · 저자명 : 김사라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술표현의 형식주의에 갇혀있다면, ‘미술을 왜 배우는가?’에 대해 학습자를 설득할 수 없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미술표현 지도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미술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방법 미술실기에 자신감이 부족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나는 어떤 사람인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를주제로 학생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미술작품을 계획하고 제작하였다. 지면의 한계로 한 학생(가명-아영)의 작품과 면담 내용만을자료로 사용하여, 전형적 사례를 이해하고 문화 패턴을 연구하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분석하였다.
    결과 아영은 사전면담에서 미술은 ‘머리를 안 써도 되는 것’, ‘만드는 것’, ‘공부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고학년임에도 유치원이나 저학년 때와 다를 바 없는 미술활동을 하고 있었다. 본격적 수업 전에 자신을 가장 잘 나타내는 사진을 골라 자기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며 의미-이미지를 연결하는 사전 경험을 제공하였다. 아영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넝쿨>이라는 아크릴화를 제작했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을 넝쿨, 흔들의자 등으로 꾸민 거대한 화분으로 표현했다. 사후 면담을통해, ‘그림은 사진이 할 수 없는 역할을 하는 것’, ‘미술표현을 통해 찾을 수 있는 자기’, ‘좋은 미술작품은 개성 있고 만족스러운 것’, ‘미술은 글보다 더 넓은 범위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라는 미술에 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스토리텔링은 학습자가 주제에 맞는 의미를 구성하고, 그 의미를 조형언어로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미술창작은 유아적 미술활동의 수준을 뛰어넘는, 고차원적인 자기 삶에 관한 탐구를 기반으로 한 창작활동이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삶을 위하여 미술을 배운다는 의미는 교사가 직접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경험하고깨달아야만 그 설득력을 갖출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act that confinement in the formalism of art expression cannot persuade studen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reason for learning ar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learner’s recognition on art can be changed through the case on teaching art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done for the objects of the three 6th graders with insufficient confidence in practical skills in art. The researcher planned and practiced art expression class for one 6th grader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 by focusing on the student’s work and the interview details. ‘What type of person am I?’ and ‘What type of person will I want to be?’ are presented as subjects, and the artwork was planned and produced through the story-telling of the student from plan preparation. Only one student’s (alias-Ayeong) work is used with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ith the student as data due to the limit of space to understand a typical case and do analysis as the qualitative case study on researching the culture pattern.
    Results A-yeong recognized art as ‘the thing not requiring the use of her head’, ‘making a thing’, and ‘the thing that is not study’ in the pre-interview and was doing an art activity like that of a kindergartener or a low grader even though she was a high grader in the elementary school. Before the actual class, she selected the best photo expressing her to talk about herself and provide the prior experience connecting the meaning and the image. She made the acrylics entitled ‘Vine’ through storytelling and expressed the mind of becoming a warm person to people around her with the huge pot decorated with the vine, the rocker, etc. The changes of learner’s recognition on art could be checked after artwork production. Those changes are ‘A drawing plays the role not replaced by a photo.’, ‘Finding self through art expression’, ‘A good artwork is unique and satisfying.’, and ‘The scope of art expression is wider than that of writing’.
    Conclusions First, conversation with a student helps a student organize the meaning suitable to the subjects and properly implement the meaning with the formative language. Second, the art creation of an upper elementary school grader should be the creative activity based on the higher quest for the life of self beyond the level of an infantile art activity. Third, the meaning of learning art is convincing only if a teacher cannot directly teach it but a student should experience and realize it for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