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사기』 신라 上代 기사에 보이는 倭 -김부식의 對外觀과 저술의 실제- (The ‘Wae(Jp. Wa)’ entries in the early section of Annals of Silla in Samguk Sagi - Kim Bu-shik’s foreign view and the compilation of Samguk Sagi)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5.12
44P 미리보기
『삼국사기』 신라 上代 기사에 보이는 倭 -김부식의 對外觀과 저술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2호 / 99 ~ 142페이지
    · 저자명 : 신종원

    초록

    『삼국사기』 신라본기 상대 기사에는 倭 사료가 50여 건 실려 있다. 이들 왜 기사는 광개토왕비가 발견된 이후 더욱 주목 받게 되었다. 그것은 이들 기사가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倭(軍) 활동과 부합되는가 어떤가를 검토해보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일부 연구자는 신라본기의 왜는 왜국 군대가 바다를 건너 수시로 신라를 침범한 세력이라 한 데 반해, 어떤이는 그들을 다만 계절풍을 이용한 해적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신라본기의 왜 기사를 일별해보면 이들 사료는 크게 네 부류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왜에 대한 호감이나 동경을 가지면서, 먼 곳에 있는 이상향 정도로 보아 신라의 왕이나 대신이 왜에서 왔다고 기술하고 있다. 두 번째는 왕의 善政・德治를 보여주는 사례로서 왜군에 대한 방어, 토벌에 관한 기사다. 셋째는 단순한 침범이나 약탈적 성격의 왜인・왜군이다. 네 번째는 외교나 사신왕래에 대한 내용이다. 이러한 倭(使)는 백제본기에도 등장한다. 두 번째 부류는 ‘쓰여진 역사’가 통치의 본보기가 된다는 점에서, 세 번째 부류는 국방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모두 역사를 쓰는 의도가 뚜렷이 보이지만 사실여부를 확인할 방도는 없다. 이들 네 부류에서 바다 건너 일본열도에서 온 세력이 분명한 것은 네 번째뿐이다. 그것도 야마토정권의 통일세력이 나오기 전의 기사이므로 일본열도의 지방정권 특히 九州의 세력이 주요 대상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신라 상대의 왜 사료는 소지왕 22년(500) 이후로는 전혀 보이지 않고, 대신 가야 사료가 자주 나오는 등 왜・가야 기사는 시대별로 단락을 지어 있다. 이에 왜와 가야 사이에는 어떤 식으로든 연결성이 있어 보인다. 앞에서 보았듯이 다소 막연했던 倭가 점차 분명해지자 그 가운데 일부는 가야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삼국사기』 의 왜 사료를 이해할 때 참고가 되는 것은 말갈 사료다. 왜나 말갈 모두 국가 단계나 조직까지는 이르지 못한 집단으로서 막연히 부른 낮춤말에 지나지 않는다. 지역에 따라 한반도 중부에 사는 무리를 ‘말갈’이라 써놓았고, 동남부의 집단을 ‘왜’라 하였다.
    『삼국사기』의 대외기사를 이해하려면 먼저 글쓴이 김부식과 그 시대를 알아야 한다. 김부식 일파는 묘청의 난을 진압하고 금나라에 사대의 예를 취하는 것으로 고려의 외교 노선을 결정하였다. 오랑캐나라에 사대하는 정책을 뒷받침하는 역사상의 경험/기억으로서 과거 신라 또한 왜에 대해서 그렇게 하였고, 그럼에도 결국 삼국을 통일하여 오늘에 이르렀다는 역사를 보여주고자 한 것이 『삼국사기』를 찬술하게 된 배경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삼국사기』에는 왜와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실려 있는데 신라와 백제에서 건너 간 왕족이나 대신을 ‘(人)質’이라고 적었다. 하지만 이들 기사가 의거한 원전 어디에도 ‘質’이란 표현은 없다. 이렇게 縮小史觀/패배주의적 바탕에서 자의적으로 편찬한 역사책을 광개토왕비를 이해하는 보조자료로 삼을 수는 없다.

    영어초록

    The early section of the Annals of Silla which forms the initial chapters of the Samguk Sagi (hereafter SGSG) contain fifty entries related to Wae (Jp. wa). These wa-related entries attracted greater attention of scholars after the discovery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because of their perceived relevance to a research question they aimed to examine. They wanted to examine whether Wae appearing in the SGSG, were the same wae whose military expedition is mentioned in the King Gwangaeto stele. Some scholars argued that the Wae of the Annals of Silla were the same Wae forces that crossed the sea and invaded Silla on numerous occasions, while others pointed out that they were merely sea pirates who used seasonal wind to cross over to the Korean peninsula to raid coastal settlements. If we carefully analyze wa-related entries of the SGSG we can classify them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First, some entries demonstrate positive and sympathetic feelings for Wa, present an idealized picture of their distant land and also suggest that the kings or great ministers of Silla were derived from Wae. The second category includes cases of defense against and punishment of Wae by Silla rulers, and thereby emphasize their virtuous and efficient politics. The third category includes Wa people or Wae forces who were primarily intruders or raiders. The fourth category relates to records about diplomatic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of envoys. It is apparent that when narrative the activites of Wae in the second category the author of the SGSG was motivated by the Confucian notion of history serving as a mirror to aid the administration, and the third category is undergirded with the historian’s objective to strengthen border defense. Amongst the four categories, listed above, Wa of the last category alone can be judged as derived indisputably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These records relate to the period prior to the unification of Japan by Yamato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one may justifiably argue that Wae of these records denotes the force of provincial administration, especially that of Kyushu. Records of Wae (envoys) appear in the Annals of Baekje also, but they cease to appear after the 22nd year of King Soji(522). Instead we see on the pages of the SGSG during this period records about Gaya, more specifically entries about Wa.Gaya. These records suggest some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Wa and Gaya. The identity of Wa which was vague to some extent in earlier records, now assumes specificityIt appears that at least a section of the Wae population is given the nomenclature Gaya or is broadly wrapped under the cover of Gaya. Records about Malgal give us a clue to understand Wa-related records of the SGSG. Since both Wa and Malgal remained as tribal settlements through history and failed to achieve centralized monarchical states, both these terms (Wa and Malgal) were used pejoratively to denote the notion of inferior polities. These terms were used depending on the region.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alled Malgal, while that of Southeastern area was called Wae. In order to form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ecords about foreign land and people it is necessary to look at Kim Bu-shik, the author of SGSG and his times. Kim Bu-shik and his followers played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character of the foreign policy of Goryo by crushing the rebellion of Myocheng and accepting the suzerain status of Jin dynasty China, a barbarian state in Chinese history. In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Jin and accepting Jin’s suzerain status ovewr Goryeo Kim Bu-shik was inspired by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memory of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Wae. One of the motivations for Kim Bu-sik to write the SGSG was to demonstrate that Silla was bound in its early phase by diplomatic ties of similar nature, and yet it could achieve peninsular unification. The SGSG contains concrete records about the relationship of early Korean states with Wa, and it is remarkable indeed that it calls the members of the Silla and Baekje royalty and nobility who crossed over to Japan as hostages, but the original sources on which these records are based, do not use the word ‘hostage’. It is apparent that the records of the historical text, underpinned by defeatist, self-belittling historical perspective, cannot be used to corroborate the inscriptions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It becomes clear from the above discussion that Wae-related text of King Gwanggaeto inscription needs to be approached and 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devoid of biases and preconceived no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