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世運地區(6-3-1, 2구역) 出土倭沙器의 성격 검토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eramics Excavated in Sewoon District (6-3-1 & 2) in Seoul)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4
40P 미리보기
서울 世運地區(6-3-1, 2구역) 出土倭沙器의 성격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19권 / 19호 / 137 ~ 176페이지
    · 저자명 : 유태용, 박유미

    초록

    이 글은 세운지구(6-3-1, 2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왜사기와 그 쓰임에 대한 역사적, 생산 및 소비의 추이를 추적하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왜사기는 언제부터 출토되었으며 종류가 무엇이고, 어떠한 물품들이 당대인들에게 쓰여졌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왜사기는 상품으로써 사람들에게 소비되었기 때문에 확인되는 출토품의 상표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이것들이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져 세운지구 거주 사람들에게 수용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청계천 남안의 세운상가 일대는 조선 개항이후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본인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였던 곳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세운지구(6-3-1, 2구역)에 대한 발굴조사 과정에 Ⅰ문화층(1940년 이후)과 Ⅱ문화층(19C 후반-1940년)에서 왜사기가 다수 출토된 점에 주목하였다.
    세운지구의 제Ⅰ문화층에서는 건물지 7기가 발굴되었고, 제Ⅱ문화층에서는 건물지 28기가 조사되었다. 이곳은 漢陽都城의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 말기에 이르러 근대화와 현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지형과 지리에도 많은 변화가 수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양한 왜사기가 다수 발굴되었다.
    왜사기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편년되는 Ⅰ과 Ⅱ, 두 개 문화층의 건물지들에서 모두 410점이 출토되었다. 이들 왜사기 가운데 확인 가능한 器種에는 沙鉢, 盞, 盌, 접시, 대접, 종지, 甁, 뚜껑, 盒과 같은 생활 食器類가 대부분이고, 祭器와 壺, 高足杯, 술동이, 注子 등과 같은 祭儀나 酒類 관련 器種 일부 및 향꽂이와 촛대꽂이 같은 瓷器類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왜사기에는 銘款이나 商標가 다수 확인되는데, 세운지역에서 출토된 왜사기의 명관은 58점에 이르며, 명문은 한자, 상표, 영문, 한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세운지구 왜사기의 출토는 구한말부터 일본 측의 對한국 상품 유통의 흔적이 일용품인 자기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민간에서의 왜사기 유입과 사용과정이 세운지구(6-3-1,2구역)에 고고학적 발굴조사에서 확인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왜사기의 유입과 사용은 그 시대 우리의 전통 도자의 제작방법과 유통, 소비와 구매 측면도 산업적 차원으로 접어들 수밖에 없음은 물론, 사람들이 왜사기를 소비하면서 형성하게 된 도자 용기에 대한 관념으로 인해 기존 기형, 문양 등의 변화가 우리 도자에도 수반될 가능성을 짐작케 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an excavation of the Sewoon District (6-3-1 & 2), the cultural layers where Japanese ceramics were excavated were the I (since 1940) and the II Cultural Layer (late 19C to 1940). Seven buildings were excavated from the I Culture Layer, and 28 buildings were uncovered from the II Culture Layer. Sewoon District (6-3-1, District 2) wa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many changes were made to the terrain and geograph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wo cultural layers of this district showed a transitional aspect of modernization, such as the traditional cornerstone building site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the modern-style workshop building site. Also, the site of the building of the I cultural layer was not identified with the facilities where people lived. So these buildings are thought to have been used as workplaces such as metalwork or as building sites for craft purposes.
    A total of 410 pieces of Japanese ceramics were excavated from two cultural layers, the I and II cultural layers, which extend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Among these types of Japanese ceramics, most of them contain daily utensils such as bowls, glasses, wans, plates, bottles, covers, haps, ritual vessels, legged glasses, kettles, and other types of ceramics such as incense sticks and candlesticks. In addition, many stamping and trademarks are found in Japanese ceramics, including 58 seals of Japanese ceramics excavated from Sewoon area. The inscriptions appear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trademarks, English, and Hangeul, and so on.
    In summary, the excavation of Japanese ceramics in Sewoon District has been a significant influx and use of Japanese ceramics since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and it clearly shows its traces in ceramics, where the Japanese distribution of goods to Korea is a commodity. In addition, Japanese ceramics products used in modern times tended to import products produced in various parts of Japanese archipelago, but some of the products based in Korea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Such significant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possession of Japanese ceramics were found to be relics in the excavation, suggesting that changes in existing shapes and patterns may have affected Korean ceramics, as well as industrial methods,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purch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