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 (Why Translate Plato? The Answer of the Renaissance Platonist Ficin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5.08
34P 미리보기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2권 / 3호 / 367 ~ 400페이지
    · 저자명 : 송유레

    초록

    르네상스 철학자 피치노는 플라톤과 플라톤주의자들의 그리스 원전을라틴어로 번역함으로써 플라톤주의를 서구 유럽으로 귀환시키는데결정적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피치노는 왜 플라톤을 번역한 것일까? 본 논문의 목적은 그가 되살리고자 한 플라톤주의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특히 피치노가 번역서를 비롯한 저술들을 출간하며 남긴 서문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서문들에는 그가 플라톤주의 고전들을 번역하게 된 경위와 목적, 그가 플라톤주의에 부여하는 의미와 기대하는 역할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우선 피치노의 플라톤주의의 문화적 배경인 르네상스 인문주의의특징을 간략히 짚어볼 것이다. 아울러 피치노가 르네상스 인문주의의핵심 개념인 ‘후마니타스’(humanitas)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피치노의 서술들에 근거하여 그가 어떤 플라톤주의를 추구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가 추구한 플라톤주의는 일종의 ‘경건한 철학’ 내지 ‘신학’, 나아가 ‘철학적 종교’로 드러날 것이다. 이러한 규정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피치노가 플라톤주의를 고대 이교 신학 전통의 완성으로 내세우기 위해 사용한 ‘옛 신학’ 과 ‘공통의 종교’의 관념들을 조명할 것이다. 이어서 플라톤주의자인동시에 그리스도교인인 피치노가 플라톤주의와 그리스도교의 관계를다룬 서술들을 분석할 것이다. 피치노는 플라톤주의에서 지성인들을그리스도교로 이끌기 위한 철학적 수단을 발견했지만, 플라톤주의를그리스도교적으로 전유하려는 시도에서 결국 자신의 그리스도교관 또한플라톤주의화했음이 밝혀질 것이다.

    영어초록

    Marsilio Ficino is considered to be a central figure of the Florentine Academy, who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Platonism in the Renaissance by translating Plato’s complete works and other major Platonists’ writings into Latin. But why did he translate Plato and his followe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what kind of Platonism Ficino tried to revive and why. For this purpose, I draw attention in particular to the ‘prefaces’ of his translations, commentaries or treatises. Ficino’s prefaces show the objectives and intentions of his publications and the meaning and the role which he attributed to Platonism. We begin with a brief look at the main features of Renaissance humanism which forms a background to Ficino’s Platonism. In this connection, we consider what he understood by ‘humanitas’, a key concept of Renaissance humanism. We then turn to Ficino’s prefaces and some other writings,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latonism sought by Ficino is a ‘pious philosophy’ or theology, even a philosophical religion. In order to elaborate this interpretation, we first clarify the conceptions of ‘prisca theologia’ and ‘common religion’, which Ficino used to situate Platonism in the tradition of pagan religion.
    Next, we investigate how Ficino, as both a Platonist and a Christian, conceiv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onism and Christianity. It is shown that Ficino found in Platonism a philosophical means for preparing ‘intelligent’ people for Christianity. Yet, in his attempt to appropriate Platonism in a Christian way, he seemed eventually to Platonize his own vision of Christi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