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따의 동조자 및 방관자 심리 분석과 기독교 상담적 돌봄 - 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The psychological analysis of followers and onlookers in Bullying and implication for pastoral car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6.02
28P 미리보기
왕따의 동조자 및 방관자 심리 분석과 기독교 상담적 돌봄 - 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48호 / 257 ~ 284페이지
    · 저자명 : 고유식

    초록

    최근 몇 년 전부터 왕따,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의 왕따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고, 현재에도 왕따는 여전히 커다란 사회적 문제이다. 청소년 TV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주제 중 상당수가 왕따와 관련되어 있다. 그만큼 왕따와 관련된 문제는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물론 왕따는 최근 갑작스럽게 형성된 현상은 아니다. 왕따는 예전부터 여러 가지 표현과 형태로 있어왔다. 또한 왕따의 연령대가 청소년에만 국한된 것도 아니다. 성인들의 경우 직장 내에서 왕따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친구들 사이에서도 나타나기도 하며, 심지어 교회 내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하지만 왕따 현상으로 인해 피해를 당했던 사람들의 대부분이 최초 학교 내에서 왕따를 경험한다는 것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학교는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지식적 배움에 대한 목표뿐만 아니라, 건강한 공동체감을 키우기 위한 목표를 갖고 모인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모인 학교에서 왕따의 문제가 발생되고, 왕따를 경험한 아이들이 극단적 반공동체감의 경험을 통해 인간에 대한 좌절과 실망을 체험하게 되는 것은 매우 충격적이며,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현실이 매우 안타까울 뿐이다.
    그래서 많은 청소년 연구자들은 왕따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이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왕따의 문제를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바라본다. 그러한 연구가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구자는 왕따 현상을 사회 구조적 문제로 바라보기 전에 개인적인 차원에서 바라보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왕따의 구조 속에 놓여 있는 개인을 분석하고 돌보는 노력을 통해 사회 구조 역시 분석되고 치유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 판단된다.
    그래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어떠한 통로로 왕따라는 현상이 우리의 삶 속에 발생 되었는지 살펴보고, 이 현상 속에 나타난 가해자와 피해자는 누구이며, 또한 기독교 상담가들은 이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For a few years what the bullying, particularly the bullying of youth, the great social issue now. Most TV program, Drama and Movie, in which the young people occur related to bullying. The problem of bullying is the main concern of people who live in this time. Of course, the phenomenon of bullying in recent years is not suddenly formed. the problem of bullying, there were various expressions and in different form in the past. And the age of bullying is not restricted to youth. In adults, the phenomenon of bullying appears in the workplace, also appears among friends, and even it might appear in the church. But we should note that most of the people who suffer as victims of bullying, have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d bullying at school. The school is of course a place that children and youth learn the knowledge. However, the school aims and encourages that they form a sense of healthy communities. It was shocked and intolerable that the problem of bullying appears at school, and that the victims of bullying by the experience of excessive in sensation of anti-community witnessed the despair and the failure of the people.
    Thus, many researchers try to youth, to solve the problem of bullying by the researchers interpret the phenomenon of bullying. They often consider the problem of bullying as a social-structural problem. It is not wrong. However, I think that for the exact analysis of bullying at first the problem of bullying needs to be researched in the personal dimension, before the problem of bullying is researched in the social-structural dimension.
    So I want to present the grounds for an argument with this article how the phenomenon of bullying is produced in human life, whoever is the perpetrator or the victim in the problem of bullying, and how can help pastoral counselor the offender and the vict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