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문사 전탑의 구조와 석조여래좌상 및 사천왕석주의 배치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Brick stupa, the Seated Stone Buddha and the Arrangement of the Sacheonwang Stone Pillar in Unmunsa Templ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0.08
38P 미리보기
운문사 전탑의 구조와 석조여래좌상 및 사천왕석주의 배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40권 / 207 ~ 24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옥

    초록

    청도 운문사의 작압전에는 석조여래좌상 1구와 사천왕석주가 있다.
    운문사 작압전의 사천왕석주 4구와 석조여래좌상은 『삼국유사』 ‘보양이목’조에 기록되어 있는 보양국사가 건립한 작갑사의 5층 전탑에서 유래하였다고 생각되는데, 현재 작압전과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형태로 존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절 안에는 목탑의 사리공을 닮은 석괴가 있어 이것이 전탑의 사리를 봉안하였던 사리공으로 생각되고 전탑 중심의 지표면이나 지하에 위치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리장치의 위쪽에는 목탑의 사천주처럼 사리장치를 보호하는 중심주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사천왕석주로 생각된다. 이들 중 동과 서, 남과 북의 사천왕상이 각각 비슷한 높이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등을 마주하고 밖을 향하여 사리를 외호하는 모습으로 서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석조여래좌상은 대좌와 광배를 두루 갖추고 있음에도 크기가 매우 작다. 대좌는 하대가 육각형인데 특이하게도 좌우로 넓고 앞뒤가 좁다. 이렇게 특이한 형태의 불상은 아마도 높이가 낮고 앞뒤가 좁은 공간에 배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는 하나의 불상이 독존으로 있으나 원래는 4구의 불상이 중심에 선 사천왕상 앞에서 동․서․남․북의 문을 내다보는 위치에 각각 봉안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동․서․남․북에 각각 봉안되어 있었던 석조여래좌상은 세월이 흘러 전탑이 무너지고 이건하는 등의 변화를 거치면서 현재와 같은 건물에 하나만 남은 불상이 독존으로 모셔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re are a Seated Stone Buddha and the Sacheonwang Stone Pillar in Jakapjeon of Unmunsa Temple, Cheongdo.
    It is thought that the four Sacheonwang Stone Pillars and a Seated Stone Buddha in Jakapjeon of Unmunsa Temple originated from the five story brick stupa, which was established by State Priest Boyang as recorded in ‘BoyangiMok’ of 『SamgukYusa』and which is judged to be located in a different place from the current Jakapjeon.
    There is a stone in the temple that resembles the Sari hole of the wooden stupa, and this is thought to be the Sari hole in which the Buddha's relics(Sari) of the brick stupa was enshrined and to be located on the surface or underground of the center of the brick stupa. It is assumed that there was a central column that protects the Sari device on upper side of it like the Sacheon column of the wooden stupa, and the Sacheonwang Stone Pillar is assumed to play the role. It is assumed that the Sacheonwang stone pillars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each had similar height, facing each other's backs and defending the Sari outwards. The Seated Stone Buddha is very small even though it has both pedestal and halo. The pedestal has a hexagonal base, which is unusually wide from side to side and narrow from front to rear. This unusual shape of Buddhist Statue was probably placed in a space with low height and narrow from front to rear. There is one Buddhist statue currently, but it is presumed that each of the four statues was originally enshrined in the position of looking out the gates of east, west, south, and north in front of the Sacheonwang statue which stands at the center.
    It is assumed that the Seated Stone Buddha, each of which was enshrined at east, west, south and north, came to remain with a single Statue in the current building after going through the collapse and movement of brick stupa as time pa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