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사천왕사 금당 기단의 변화 양상과 조영 특징 (A Study on the Changing Aspec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4
16P 미리보기
신라 사천왕사 금당 기단의 변화 양상과 조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30권 / 2호 / 55 ~ 70페이지
    · 저자명 : 이상명

    초록

    신라 사천왕사 금당의 기단은 남아 있는 유구에서 몇 차례 기단의 규모 및 형식에 변경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잔존 유구와 문헌 분석을 토대로 금당 기단의 조영계획 및 시공과정에서 여러 가지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 사천왕사는 선덕왕대에 낭산의 신유림을 도리천으로 삼아 능지를 점하고, 그 아래에 원찰 성격의 사천왕사를 계획하면서 부지 위치가 정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문무왕 재위 전반인 660년대 가람의 부지 조성을 위한 토목공사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당군의 침략에 맞서 670년 명량법사의 주도 하에 긴급하게 사천왕사를 조창(祖創)하는데, 채색 비단으로 절을 짓고 풀로 오방신상을 꾸미는 등 임시적인 성격의 가람 조성이었다. 금당도 조창 기단을 축조하는데, 개창(攺刱 기단에 비해서는 규모가 30% 정도 작았고, 전시(戰時) 상황으로 상부 목조건축까지는 이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679년 사천왕사는 통일대업과 호국사찰의 상징으로서 그 위상에 걸맞게 본격적인 개창이 이루어진다. 금당 기단 규모는 가람 전체의 중요 모듈로서 계획되고, 금당 기단 입면은 목조 건축의 주칸 계획처럼 탱주 간격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은 사천왕사 금당 기단 조영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당초 개창 기단은 조창 기단에 비해 규모가 확대되고, 이중기단의 형식을 갖추게 된다. 기단 지대석에 목탑과 같이 장방형의 탱주홈이 새겨진 것을 보면 개창 기단은 당초에는 전석 병용기단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정면 8칸 면석부는 사천왕사의 성격에 맞게 팔부중상이 벽전으로 베풀어졌을 가능성도 있고, 화문 등으로 장엄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지만 특정한 형식을 밝히지는 못하였다.
    사천왕사를 개창하는 과정에서 금당에는 차양칸이 부가되고, 금당과 동서회랑 사이에는 익랑이 설치되는데, 이는 의례 동선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변화는 당초 개창 기단 입면의 재료와 형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차양칸 증설로 전석 병용기단의 장엄 효과는 그 의미가 축소되고, 내구성이 강한 석조 가구식기단으로 변경된다. 특히 정면 8칸 면석부도 변경되는데 어칸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의장적인 배려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천왕사 개창 기단은 갑석과 지대석의 층단을 주어 상하단이 돌출하고 탱주 사이 면석부를 장식하였는데, 이는 당대(唐代)에 유행한 수미좌식 기단 형식이다. 정밀할 조영계획을 통한 기단 입면의 조형적 완성도를 높인 점, 전후면 계단의 디딤석 중앙부 장식, 계단 석주 상부의 장식 및 상하층기단에 포설한 녹유전과 보상화문 등으로 장엄한 점 등을 보면 사천왕사 금당의 개창 기단은 당시 동아시아 최고 수준의 기단으로서, 신라의 기단 조영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established in 670 under the leadership of Myeongnyang in response to theinvasion of the Tang Dynasty. At this tim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constructed, which was about 30%smaller than the reconstruction. Due to the wartime situation, the construction of wooden buildings did not seemto have been achieved.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679 as a symbol of the Hoguk(護國)temple. The size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planned as an important module for the entire temple. Thestylobate fasad was designed at intervals of Tangju(撑柱), just like the JuKhan(柱間) plan of wooden archite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ight Devas may have been decorated in Front fasad. When the SacheonwangsaTemple was rebuilt, the Geumdang Hall was added by the ChayangKhan(遮陽間) and an Ikrang(翼廊) wasinstalled next to it. These changes affect the material and form of the stylobate. It was changed to a durablestone post-lintel style stylobate and the intervals of Tangju(撑柱) in Front fasad was also adjusted. As thehighest-quality stylobate in East Asia at the time, the Geumdang Hall stylobate is considered to have takenSilla's architectural skills to the next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