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장내 왕따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Workplace Wang-tt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7.02
26P 미리보기
직장내 왕따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6권 / 1호 / 49 ~ 74페이지
    · 저자명 : 김하연, 강대석

    초록

    본 연구는 하나의 사회 현상인 ‘직장내 왕따(workplace wang-tta)’를 개념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했다. 피해 유경험자들과의 개별인터뷰를 통해 직장내 왕따 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유사 개념들(집단따돌림, 무례함, 사회적 훼방)에 대한 문헌 검토를 병행함으로써 직장내 왕따 척도의 측정문항들을 도출했다. 내용타당도의 평가를 거쳐서 측정문항들은 총 47개로 결정되었으며, 이후 350명의 직장인 설문데이터를 투입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인간적인 무시, 역량폄하, 불합리한 업무처리/조정이라는 3요인, 22개 문항이 산출되었다. 이러한 3요인 구조는 또 다른 351명의 설문데이터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자료에 대해 적합했다. 척도의 내적 요인구조와 외적 변수들을 이용한 타당도 검증에서 수렴/판별/동시 타당도가 입증됨으로써 주로 집단따돌림(mobbing/bullying)으로 한정되었던 국내 직장에서의 왕따 현상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얻게 되었다. 조직 내부에 왕따 현상이 확산되어 있는 정도를 진단하는 데에도 본 척도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 phenomenon of workplace wang-tta and develop a scale to measure it. The concept of workplace wang-tta was defined and items to measure it were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9 victims and related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ponses of 350 employees collected from a variety of work fields in South Korea, analyses of the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of this new instrument indicated that the workplace wang-tta scale is a reliable instrument composed of 3 factors: personal disregard, competence derogation, and improper work processes. The 3-factor structure received further support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FA) on a sample of 351 employees not used in exploratory factor analyses (EFA). A series of valid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workplace wang-tta scale ha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i.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erms of external validation, the scale was also significantly and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s of fair interpersonal treatment while lowly correlated with extrinsic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port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Moreover, the workplace wang-tta was associated with greater psychological distress supporting concurrent validity.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increasing deep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workplace wang-tta, as well as providing a valid, reliable and easy-to-use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workplace wang-t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