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진평왕대 내성사신의 설치와 그 배경 (The constitution of NasungSasin in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and its backgroun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7.11
31P 미리보기
신라 진평왕대 내성사신의 설치와 그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29권 / 151 ~ 181페이지
    · 저자명 : 김숙희

    초록

    진평왕대는 왕권이 강화되고 왕실위상이 고양된 시기이다. 왕은 관제정비를 통해 진평왕 중심의 지배체제를 구축하였다. 중앙(행정)기구를 정비해 국가운영에 필요한 체제를 갖추고, 내정기구를 정비해 왕실운영에 필요한 제도기반을 마련했다. 두 차례에 걸쳐 정비되었다. 전기에는 삼궁사신을 설치하여 왕실업무 담당기구를 공식화했는데, 왕실과 중앙(행정)기구를 구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후기에는 內省私臣을 두어 三宮私臣을 兼掌하게 했는데, 내정기구의 위상을 강화하고 기능을 확대하기 위한 조처였다고 본다.
    내성사신 설치는 진평왕실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내성사신 용수는 조금 다른 시각에서 이해했다. 시기상으로 볼 때 진평왕이 선덕을 왕위계승자로 결정한 후에 내성사신이 설치되었다. 이 결정은 몇 가지 과제를 낳았는데, 먼저 진평왕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 귀족세력과 관련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왕위 계승을 안정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귀족세력 관련 문제를 관리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했다. 다음으로 선덕의 즉위를 위해 새로운 논리를 모색해야 했다. 선덕왕이 聖骨男盡하여 즉위한다는 기록을 통해 볼 때, 성골이 석가왕실을 대체하는 논리로 등장한 듯 하다. 그 다음으로 당 고조가 선덕의 즉위에 부정적이었다는 점과 관련 있다. 진평왕은 원활한 대당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군사적 기반에 주목했다고 보았다. 당이 고구려 정벌에 관심 있는 점을 인지하고, 군사력을 갖춘 인물을 내성사신에 임명한 것은 아닐까 추론했다. 이에 부합하는 인물로 용수를 주목했고, 그를 내성사신에 임명했다고 추론하였다.

    영어초록

    The era of King Jinpyeong was a period when the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 and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was enhanced. King Jinpyeong established the centralized ruling system through governmental facility maintenance. He secured the essential system for management of state by aligning the centr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nd arranged the foundation for management of the royal family by aligning the domestic organization. The alignments of the organizations were implemented two times throughout his reign. In the early period, he constituted SamgungSasin to formalize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tasks of the royal family, and its purpose might have been separations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central adminstration organization. In the late period, he set up NasungSasin and made it play a role as SamgungSasin, this measure might be in order to consolidate the position of the domestic organization and to expand its function.
    NasungSasin can be regarded as a policy for strengthening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On the other hand, Yong-su as NasungSasin can be understood in a different perspective. In the view of the period, NasungSasin was constituted after the time when King Jinpyeoung decided to hand over the throne to Seonduk . This decision caused three problems. The first one was how to solve the repulsion of members of the aristocracy who were excluded from the centralized ruling system. Seonduk ‘s accession did not accord with the royal policy that claimed to support Buddhism. Therefore, someone who could manage the repulsion from the aristocracy for the stable process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needed. Next, the novel ideology was required for Seonduk’s accession. According to the record that the succession of Seonduk was due to the absence of the Seonggol male, Seonggol might become an alternative ideology. Assuming that Seonduk ’s Seonggol was not an idea based on deification, but on rationality, it might be relative to Confucianism rather than Buddhism. There might be consideration on an awareness of Confucianism when the king appointed NasungSasin. The last problem was that Gojo of Tang dynasty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s Seonduk ‘s accession. King Jinpyeong may have taken notice of the military foundation to maintain favorable diplomatic relationship against Tang. Recognizing Tang’s interest in the conquest of Goguryeo, he might have appointed a person who had military competence to be the NasungSasin. Therefore, Yong-su might be appointed as NasungSasin, as the king thought him to be eligible for the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