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 (The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Erechtheus the Athenian king and Egyp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4
32P 미리보기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48호 / 53 ~ 84페이지
    · 저자명 : 오흥식

    초록

    이 연구논문의 목표는 고대 그리스의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이 이집트에 있었음을 문헌적, 고고학적, 어원적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데에 있다. 기원전 14세기 전반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에 의해 그 비의가 이집트로부터 받아들여져 그리스의 엘레우시스에 확립되었을 개연성을 제시하려 한다. 사후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엘레우시스 비의(Ἐλευσίνια Μυστήρια)는 고대 그리스에서 데메테르 여신의 숭배를 위한 제례다.
    엘레우시스 비의가 기원한 시기를 학자들은 청동기 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데에 거의 동의하고 있지만, 기원지에 관해서는 그리스 본토설, 트라키아설, 크레타설이 있다. 그런데 일찍이 『엘레우시스 비의(Les Mystères d’Éleusis)』(1914)라는 책으로 엘레우시스 비의에 관한 연구의 문을 열어 놓았던 폴 푸카르(Paul Foucart)는 그 비의의 기원지가 이집트라고 기록한 고대 그리스 저자들의 글은 논박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책이 출간된 지 한 세기가 흘렀다. 논자는 그 동안의 고고학적 증거, 언어학적 증거로 보아,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에 신빙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오도로스(1.29.2)는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가 엘레우시스에 데메테르의 입교식을 시작하고 비의(τὰ μυστήρια)를 확립하였는데, 이는 그가 이집트로부터 들여온 의식이다”고 기술하고 있다. 디오도로스의 이러한 기록을 직·간접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다른 그리스 저자들의 기록들이 있다. 『파로스 연대기』도 기원전 14세기 전반에 에렉테우스 치세에 그 비의가 시작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헤로도토스(2.171.1)는 테스모포리아 축제라고 부르는 데메테르 축제도 다나오스의 딸들이 이집트에서 들여온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때는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511/10년이다. 그리고 헤로도토스(2.156.5)와 디오도로스(1.29.4)는 모두 데메테르가 이집트의 이시스 여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는, 엘레우시스 분묘에서 기원전 9, 8세기에 속하는 이시스의 스카랍과 상징물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데메테르가 바로 이시스라는 그리스인들의 기록의 신빙성을 뒷받침해준다. ‘비의(mystery)’로 번역되는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을 학자들은 대체로 인도유럽어 어근 ‘mu’로 보고 있는데, “입술을 닫다” 또는 “말이 없는”이라는 뜻을 지니며 그리스어로는 동사 μύω가 있다. 그런데 이집트 종교 전문가 S. Mayassis에 따르면, μυστήριον은 이집트어 어근 √st3에서 온 것으로, 이 어근에 명사화 접두어 또는 처소격 접두어 m-을 붙이면 m st3(mstr, “비밀히”)이 된다는 것이다. Ȝ의 음가가 중왕국 때에는 ‘ㄹ’이었으나 신왕국 중기까지는 ‘ㄹ’과 ‘ㅏ’로 병존하다가 중기 이후부터 ‘ㅏ’의 음가만을 지니게 되었다는 버날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은 이집트어다.
    이집트인들이 기원전 1530년 경 힉소스를 쫓아내고 투트모세 3세의 치세에 이르러 이집트 밖으로 영역을 넓혔고, 에릭 클라인 교수는 그 파라오의 당시에 제작된 비문을 근거로 이집트의 종주권이 크레타(Kftỉw, 카프투)와 그리스 본토(Ḥɜw nbwt, *하우 네부트)에도 미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엘레우시스 비의가 확립되었을 시기의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1390-1352 BC)의 장례전 비문 기록에는 이집트 사절이 방문한 곳들에는 크레타와 그리스 본토의 도시들이 포함되어 있고, 1900년경부터 최근까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명이 기록된 파이앙스 명판이 장례전 비문에서도 언급된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미케네 등지에서 발굴되었다. 그리고 미케네 그리스의 도기 LHIIIA와 LHIIIB가 나일 강 연안의 고대 도시들에서 발굴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들을 종합하면, 기원전 14세기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 치세에 확립된 엘레우시스 비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대로 이집트에서 들여온 종교의식일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ursue the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Ἐλευσίνια Μυστήρια) in combination with documentary,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proofs.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Mysteries were established in Eleusis in the reign of Erechtheus the Athenian king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The Mysteries, which pursued the happy life after death, is the ritual for Demeter.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ysteries in Eleusis dated back to the Mycenaean age. But there are several opinion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ysteries: Greece, Thracia, Crete, and Egypt are all included. However, Paul Foucart insisted in his book, Les Mystères d’Éleusis (1914) that the ancient Greek writers who said tha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ysteries was Egypt can not be denied. A century has flown by since the publication of his book. I try to suggest in the light of new archeological and linguistic proofs that the reports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are reliable.
    According Diodorus (1.29.2), “he [Erechtheus] instituted the initiatory rites of Demeter in Eleusis and established the mysteries(τὰ μυστήρια), transferring their ritual from Egypt.” There are the reports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that support Diodorus directly or indirectly. Parian Marble says “[From when Eumolpus _____] instituted the mysteries in Eleusis and made known the works of the [father of M]ousaios, [11______, when Erechthe]us son of Pandion [was king of Athens].” We can deduce the time of the institution of the Mysteries as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BC in the context of the Parian Marble.
    Both Diodorus (1.29.4) and Herodotus (2.156.5) say that Demeter was the Egyptian goddess of Isis. Herodotus (2.171.3) says that “The daughters of Danaus were those who brought this rite (the rite of Demeter which the Greeks call Thesmophoria) out of Egypt and taught it to the Pelasgian women”.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Danaus and his daughters arrived in Greece from Egypt in the year 1511/10 BC.
    Archaeologically, Egyptian scarabs and a symbol of Isis were found in a tomb at Eleusis of the ninth or eighth century BC, which supports the report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that Demeter is Isi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tymology of μυστήριον (mystery) is the Indo-European root ‘mu’, which means “to close the lips” or stay “mute”, and there is a Greek verb μύω, which means “intr. close, be shut, of the eyes, trans. close, shut.” However, According to the specialist on Egyptian religion S. Mayassis, the word comes from the Egyptian root √st3 (cognate to the Semitic root √str “cover, veil, hide”). If the locative preposition m- is added to the root, m st3 (m str) “in secret” is attested. (According to Martin Bernal, the 3 “double aleph” was originally pronounced as a liquid r or I,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3 lost these consonantal values was not complete until the middle of the New Kingdom.) Egyptians expelled the Hyksos around 1530 BC and Thutmose III expanded their influential region beyond Egypt.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f his achievements, Crete (Kftỉwu) and the Aegean (Ḥɜw nbwt) paid tributes to Egypt. The pharaoh, about the time when the Eleusinian Mysteries was established, was Amenhotep III (1390-1352 BC).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n the base of his statues from his funerary temple, the pharaoh sent his ambassadors to the Aegean cities, and faience plaques with the cartouche of Amenhotep III have been discovered in Cnossos, Phaistos, and Mycenae.
    Putting documentary,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roofs togeth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Erechtheus instituted the Eleusinian Mysteries, transferring their ritual from Egy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