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민왕의 죽음과 국내외정세 (Death of King Gongmin and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5
26P 미리보기
공민왕의 죽음과 국내외정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7호 / 179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신

    초록

    고려시대에서 굴곡적인 삶과 죽음을 겪은 인물로서 공민왕을 손꼽을 수 있다. 그는 궁정 내부의 치정문제에 휩쓸려 환관과 측근 관원들에게 시해당했다고 하나 사실은 친원파 관원들의 친명정책에 대한 불만, 국왕과 권문세가와의 갈등 등이 그가 죽음에 이르게 된 중요한 요인이라고 논의되어 왔다. 1274년 공민왕 시해에 참여한 인물은 환관 최만생과 홍륜 등 자제위 소속 관원들이었다. 공민왕 대의 환관들의 행적을 살펴보면 최만생을 제외하고는 왕의 시해에 가담한 흔적이 보이지 않으므로 공민왕 시해의 주역은 홍륜 등 자제위 인사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관원들이 공민왕의 죽음을 핑계삼아 비판한 대상은 자제위 소속 권문세가의 자손이 아니라 환관세력이었다. 공민왕은 자제위를 설치하여 고위 관직자의 자제를 배속시키고 代言 金興慶으로 하여금 총괄하게 했다. 자제위는 국왕 측근세력의 양성과 국왕의 신변보호가 주요 목적이라고 판단되는데 특히 국왕의 신변보호 기능이 매우 중시되었다. 공민왕대 고려는 정치적으로는 원의 지배에서 벗어났으나 100년 가까이 원 영향력아래 있었던 흔적은 없앨 수 없었다. 명이 대도를 함락시킨 즉시 친명으로 돌아선 공민왕의 정책은 명의 고려에 대한 강압책과 맞물려 친원세력에게 불안감을 가져다 주었다. 공민왕으로서도 무조건 이들을 배척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니 그 원인은 명에 있었다. 명은 요양행성평장 유익이 명에 귀부한 이후 고려에 위압적 태도를 취할 뿐 아니라 지나치게 많은 말을 요구하였다. 고려 지배층은 원을 계승했다고 하여 명이 원대에 준해서 고려에 고압적이고 수탈적인 태도를 취한다면 고려의 친명정책은 재고되어야만 하는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에 관원들은 친명책의 보루인 공민왕의 존재에 대해 회의하게 되었다. 홍륜 등이 국왕을 시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이같은 고려내의 분위기를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명에 쫓기던 원의 관원들 중에는 초원지대로 돌아가기 보다는 脫脫不花를 고려왕으로 내세워 고려에 들어올 계획을 세웠던 것 같다. 이는 공민왕의 강경대응으로 실패했지만 친원파 관원들의 분위기는 동요하게 되었다. 명 또한 공민왕의 죽음과 무관하지 않다. 명은 요동을 폐쇄할 뿐 아니라 고려에 말 2000필을 요구하였다. 이에 최영은 말의 공납을 거부하는 제주목호를 치기위해 군대를 이끌고 제주도로 갔는데 이 틈을 타서 공민왕이 시해되었던 것이다. 요컨대 자제위 관원, 脫脫不花를 내세운 원 뿐 아니라 명 또한 공민왕의 죽음에 간접적이나마 일정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King Gongmin of Goryo Dynasty had ups and downs in his life. Historians have contended that he was assassinated by eunuchs and his close aides officials due to the illicit sex scandal related to the queen. In fact, the important factors causing his death included the discontent pro-Yuan officials who opposed King Gongmin’s pro-Ming policy, and king’s conflict with the powerful nobilities.
    The assassins were Choi Man Saeng, a eunuch, and some officials who worked for the Jajewi such as Hong Ryun. Rest of eunuchs did not participate in the assassination. Yet the royal officials criticized the eunuchs rather than the sons of the powerful nobilities for the assassination. King Gongmin established the Jajewi, the Royal Guards, comprising the sons of high-rank officials supervised by Chancelor Kim Heung Gyong to guard the king. The Jajewi also served to expand his close political forces.
    Though Goryo under King Gongmin was freed from the political influence of Yuan, the trace of Yuan’s rule over Goryo was still intact. King’s turning toward Ming after Ming’s falling of Dadu, the winter capital city of Yuan, made the pro-Yuan officials group uneasy. However, King Gongmin could not exclude them from the politics as Ming was also too demanding as Ming put pressure on Goryo and demanded too many horses as tribute after Liaoyang commander Yu Ik surrendered to Ming. The leaders of Goryo recognized that Goryo’s pro-Ming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if Ming was coercive and exploitative. The Goryo officials were suspicious of King Gongmin as he upheld pro-Ming policy. Hong Ryun, the key assassin, recognized and took advantage of such political situation so as that he could assassinate the king.
    Some Yuan officials seemed to plan to enter Goryo by making Tuotuobuhua(Toktoghan, 1314-1355) as the king of Goryo. The plan failed as King Gongmin reacted resolutely, and the pro-Yuan officials group became unrest. Ming also contributed to the death of King Gongmin. Ming blocked Liaotung and demanded Goryo to tribute 2,000 horses. When the viceroy of Jeju refused to tribute the horses, General Choi Young’s army invaded Jeju and King Gongmin was assassinated during the expedition.
    The death of King Gongmin was caused by personal resentment of some officials as well as pro-Yuan officials’ discontent toward King Gongmin’s pro-Ming policy escalated by Ming’s threats and excessive demands. In sum, the officials of the Jajewi, the Yuan officials enthroning Tuotuobuhua, and Ming played certain roles in the death of King Gongm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