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王職의 七宮 관리와 운영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Chilgung by the Yi Househo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5.04
26P 미리보기
李王職의 七宮 관리와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3호 / 112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왕무

    초록

    칠궁이라는 말은 1929년에 덕안궁을 이전하면서부터 탄생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사당이 6개만 있어서 六宮이라고 명칭하였다. 칠궁의 등장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왕실의 사당이 유지되었으며 확대 관리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제 강점기의 칠궁은 일본 황실의 王公族이었던 李王家에 소속되어 있었다. 왕공족의 안위를 위해 설립된 기구가 李王職이었으며 칠궁의 관리를 담당하였다. 따라서 칠궁의 역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왕직의 존재를 언급해야 가능하다. 칠궁은 일제 강점기에도 이왕직에 의해 제례가 유지되었으며, 왕공족들의 참배도 지속되었던 조선 왕실의 신성한 공간으로 기능했다고 사료된다. 물론 왕조시대처럼 국가적 차원의 제례가 거행되던 곳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다만 1919년 고종의 사후 덕수궁의 시설이 정리되었고, 1926년 순종의 사후 이왕직 조직이 개편되는 것과 동일하게 왕공족 관리 기구의 재편이라는 측면에서도 해석할 수 있다. 동경에 거주하는 영친왕이 순종의 서거 이후 ‘李王’으로 책봉되면서 기존 왕공족 관리 담당 주체인 이왕직 조직을 재편하도록 했으며, 자신의 생모인 덕안궁을 육상궁에 합사하여 그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칠궁은 왕공족과 이왕직의 존재 여부 여하에 따라 그 운명이 좌우되던 제례 공간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term Chilgung originated in 1929, when Deogangung was relocated to the existing six shrines, which were then referred to as Yukgung (六宮). The emergence of Chilgung reflects the fact that the ancestral shrin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were maintained and even expand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the time, Chilgung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Yi Royal Family. The Yiwangjik (Office of the Yi Royal Family), an organization established to ensure the welfare of the Royal Family,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Chilgung. Therefore, any discussion of Chilgung’s history must take into account the role of the Yiwangjik.
    It is believed that Chilgung functioned as a sacred space for the Joseon Royal Family, where ancestral rites continued to be observed by the Yi househol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and wher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continued to visit.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these rites were held at the state level as they had been during the Joseon dynasty. Nonetheless, the emergence of Chilgung can also be interpreted as part of the broader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apparatus managing royal affairs—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the reorganization of Deoksugung’s facilities after the death of Emperor Gojong in 1919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Yiwangjik following Emperor Sunjong’s death in 1926.
    It appears that Prince Yi (英親王), who was residing in Tokyo, reorganized the Yiwangjik after being invested as “Yi Wang” (李王) following the death of his half-brother, Emperor Sunjong. As part of this effort, he sought to elevate the status of Deogangung, the shrine of his biological mother, by merging it with Yuksanggung. Therefore, Chilgung should be understood as a ceremonial space whose existence and significance were closely tied to the continued presence of the Yi Royal Family and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of the Yiwangji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