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성왕 전후의 외교문서와 신라 (Around king Jinsung period seen through diplomatic documents and Sill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12
32P 미리보기
진성왕 전후의 외교문서와 신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9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채미하

    초록

    본 글은 진성왕 전후 최치원이 작성한 외교문서 내용 중 왕위계승과 발해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해 신라의 대내외적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신라에서 본격적인 외교문서가 작성된 것은 태종무열왕대부터이며 이 때의 외교문서는 그 전 시기보다 정제화되었는데,「답설인귀서」나「걸죄표」에서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삼국사기』등에 기록되어 있는 신라가 당에 보낸 외교문서는 대부분 본문 내용만 전해지고 있다. 반면 최치원이 작성한 9개의 表와 5개의 狀은 頭辭와 본문내용, 眉辭가 보여 외교문서의 서식의 대강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최치원이 작성한 외교문서 내용 중 왕위계승과 관련해서 기왕에는「납정절표」등을 통해 진성왕이 요에게 양위한 이유 중의 하나로 진성왕이 요를 대신하여 왕위에 올랐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하지만「납정절표」등의 ‘權’, 서리·임시 등의 표현은 황제를 대신하여 신라를 다스린다는 의미 내지는 책봉을 받지 못한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진성왕은 정상적으로 왕위에 즉위한 이후 다음 왕위계승권자에 대한 정지작업을 하였는데, 헌강왕의 서자인 요를 宗統化하였고 그에게 양위하였다고 보았다. 특히 요의 종통화 과정은 경문왕과 헌강왕의 추증호 요청과 외교문서에 그것을 사용한 것 등에서 알 수 있다고 하였다.
    한편「사불허북국거상표」를 보면 발해는 고구려의 계승국이 아닌 이민족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발해는 신라의 속번이며 당과의 관계 속에서도 신라와는 비교될 수 없는 존재로 파악하였다. 이것은 표면적으로는 쟁장사건과 관련 있었지만, 그 내면에는 숙위학생을 파견하는 것과 같은 문화적 자존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발해에 대한 인식 변화는 효공왕을 전후한 시기에 있었던 신라의 분열에 대한 警戒였으며, 효공왕은 즉위 전후의 대내적인 혼란을 발해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해 극복하려고 하였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internal and external status through the kings' succession and change about understanding Balhae in the diplomatic documents written by Choi Chiwon around king Jinseong period. It was from king Taejongmooyeol period when diplomatic documents were written rather properly in Silla and they were more refined than the previous period as Sangmoonsa was established as was seen from dapseolinguiseo and Geoljoipyo. And only the part of main text of the diplomatic documents sent from Silla to Tang were descented recorded in Samguksagi. On the other hand, 9 pyo and 5 Jang written by Choi Chilwon showed main text, Dusa, and Misa so the format of diplomatic documents could be roughly known. The reason king Jinseong abdicated the throne was previously said that king Jinsung was enthroned on behalf of Yo in one of the documents written by Choi Chiwon in Napjeongjeolpyo and others. But the expressions such as Seori, Yimsi etc. meant modesty that it ruled Silla on behalf of the emperor. Therefore after king Jinseong was enthroned in the right course, he did Jeongji about the successor king and he made the second Yo as Jongtonghwa and abdicated to him. Especially the process of Jongtonghwa was known in the chujeungho asking and its using by king Kyeongmoon and king Heongang.
    In the meantime, in Sabulheobukgukgeosangpyo, Balhe was stated not successive nation but the different nation. This change of understanding Balhe was admonition about disunity of Silla around king Hyogong. And Balhe was understood subordinated nation and not comparable with Silla in relation with Tang. This looked related to Jengjang event in external side but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al dignity like dispatching Sookwi students in inner side. With this, we could see king Hyogong tried to overcome the internal and external difficulties in those period through the changes of understanding Bal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