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자왕과 부여융・부여효 (The King Uija and Buyeo-Yung・Buyeo-H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4
27P 미리보기
의자왕과 부여융・부여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25호 / 79 ~ 105페이지
    · 저자명 : 김주성

    초록

    자료가 빈약한 백제사에서 새로운 자료의 발견은 기존의 해석을 보완해줄 수 있는 기회이다. 이 논문에서도 새로운 자료를 기반으로 기존의 해석을 보완해 보았다. 먼저 미륵사지 서탑 사리봉안기의 자료를 기반으로 쌍릉의 피장자를 검토해 보았다. 쌍릉의 피장자는 무왕의 선비인 선화공주로 상징되는 사씨세력 출신의 왕비와 후비인 사탁적덕의 딸로 파악되었다.
    무왕의 왕비를 선비와 후비의 두 명의 왕비로 파악할 때, 의자왕의 생모는 선화공주로 상징되는 왕비인 선비였다. 그리고 의자왕의 아들인 부여융은 의자왕의 장자로, 의자왕의 초혼 대상인 사씨 출신의 아들로 추정해보았다. 장자인 부여융은 의자왕 4년에 태자로 임명되었다. 부여융은 백제멸망기까지 태자직을 띄고 있었으나, 655년경 은고가 새로운 왕비로 등장하자 점차 태자로서의 직위를 위협받게 되었다. 은고의 아들인 소왕 혹은 외왕인 부여효가 실질적인 태자로서의 권위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은고의 등장은 좌평을 독점하였던 대성팔족과 대립하고 있었던 30여명의 정원을 가졌던 달솔층인 신진귀족의 성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은고의 등장과 함께 종래의 구귀족이었던 좌평층은 권력의 중추에서 점차 멀어지게 되었다. 좌평 성충과 흥수, 그리고 좌평 사택지적의 퇴임, 좌평 임자의 김유신과의 내통 등은 이를 단적으로 증명해준다. 이들의 대립은 나당연합군이 침공해오자 방어책을 논의하는 전략회의 석상에서 불꽃을 피우게 된다. 이들의 이러한 대립은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대한 효율적인 방어를 지연시키고, 결국 의자왕은 웅진성으로 피난하였으나 웅진방령 예식진의 배신으로 백제의 운명은 최후를 향해 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e discovery of new data in Baekje, where data are poor, is an opportunity to complement existing interpretations. In this paper, we have also supplemented the existing interpretation based on new data.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founders of Sari bonganki found in Mireuksaji. The Buried persons of Ssangneung was identified as the first queen, the symbol of Maitreya called the Princess of Sunwha, and as the second queen, the daughter of Satak-jeokdeuk.
    The Mother of the King Uija was the first queen of the King Mu, symbolized as Princess of the Sunhwa. And Yung was the eldest son of the King Uija and the first queen. He was appointed as a crown prince in 644. He had a crown prince job until Baekje was destroyed. His crown prince job was threatened in 655 when Eungo became a new queen. It is because the son of the Eungo, Hyo, had practically practiced the crown prince.
    The emergence of a queen, Eungo, created a new class of power-Dalsol class. Since then, the Jwapyeong class have gradually moved away from power. Their confrontation sparks fire at the meeting of the Strategic Council, which discusses defenses when the coalition forces invaded Baekje. These confrontations delayed effective defense against the attack of the coalition forces in the end. In the end, the King Uija escaped to Woongjin, but he was captured by the betrayal of Yesikjin-Captin Woongjin. The fate of Baekje was going toward the 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