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The Context of Dethronement of King Chunghye(忠惠王) and Goryeo(高麗) Confucianists' Support for King Gongmin(恭愍王))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1.12
31P 미리보기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19호 / 539 ~ 569페이지
    · 저자명 : 김형수

    초록

    이 논문은 공민왕의 즉위과정에서 전개된 정치적 추이와 공민왕 즉위를 지지했던 유자들의 활동과 지향을 살펴본 논문이다.
    공민왕대는 원의 지배에서 벗어나 중국대륙과 새로운 외교관계를 정립하고 고려국정을 쇄신하고자 하던 때였다. 그러나 공민왕의 즉위는 그다지 순탄한 편은 아니었다. 형이었던 충혜왕이 원에 압송되어 악양에서 사망하였지만 공민왕은 형의 뒤를 이어 즉위하지 못하였다.
    충혜왕의 죽음은 그 자신의 도덕적 결함이 크게 중요한 원인이기는 하였으나 원에서 세력을 넓혀가고 있었던 기황후 세력과의 갈등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기황후는 충혜왕 후 원년(1340) 제2황후에 책봉됨으로써 자정원을 바탕으로 원 황실 내에서 세력을 확충하고, 또 고룡보‧박불화 등 고려출신 환관들을 구사하여 조정에까지 영향력을 넓히고 있었다. 기황후를 배경으로 한 기씨 세력은 이를 바탕으로 고려에서 세력을 키워가고 있었다.
    한편 충혜왕은 고려 내에서 독단적이고 무도한 행동으로 많은 원성을 사고 있었으며, 고위 신료들에게는 그다지 신뢰를 주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충혜왕이 체포되었을 때 강융‧이능간‧권한공 등은 고려왕의 안위보다는 원 황제의 명령을 중시하는 발언을 하고 있었으며, 충혜왕을 구원하기 위한 노력은 이제현‧김륜 등 일부에 불과했다.
    충혜왕이 원에 압송될 당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고용보는 기황후 측근의 환관으로 원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당시 압송되었던 충혜왕을 대신해서 정동행성의 업무를 관장한 것은 기황후의 형제 기철과 원에서 건너온 관료인 홍빈이었다는 점은 당시 충혜왕 제거의 배후가 기황후 및 기씨 세력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충혜왕 제거 이후 충혜왕의 아들 충목왕이 즉위하였지만, 고려의 정국은 더욱 혼란한 상황으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을 맞아 고려의 유자들은 좀더 유능한 군주를 통한 ‘정상적인 국정운영’을 요구하고 있었다. 고려 유자들이 공민왕을 지원하게 된 배경에는 이들의 현실인식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제현과 이곡은 충혜왕 이후 고려의 국정운영을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그 결과 이들은 충목왕 서거 후 공민왕 옹립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던 것이다. 이곡의 경우 충정왕대의 고려를 ‘나라가 아니다’라고 까지 극언하였으며, 이제현은 군주와 신료들의 수신을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공민왕이 즉위한 후 유자들은 공민왕에게 큰 기대를 걸었으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새로운 개혁의 요구와 기씨 세력 등 구세력에 포위된 공민왕은 국정운영과 개혁의 방향을 유자들에게 찾지 않고 무장세력과 속세와 격리되었던 인물인 신돈에게 찾음으로써 고려 유자들의 기대 방향과는 어긋난 길을 걸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situation concerning the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Gongmin and the activities and aims of confucianists who supported the enthronment of King Gongmin. In the reign of King Gongmin, Goryeo(高麗) established new diplomatic relations with mainland China and tried to reform political affairs after getting out of the domination of Won. However, the enthronement of King Gongmin did not proceed smoothly. Although King Chunghye, his older brother, had been dead after transferring to Won, King Gongmin did not ascended the throne following his brother.
    The death of King Chunghye(忠惠王) was resulted mainly from his moral flaws. However, it was somewhat associated with conflicts with the powers of Empress Gi(奇皇后) who were extending their political influences in Yuan(元). Empress Gi expanded her political power in imperial Won based on the Jacheongwon(資政院) with being invested as the second Empress in 1340 of Yuan years. She also exerted her political influence over the royal administration by commanding eunuches as Goryongbo and Parkbuka(朴不花) from Goryeo. That is, the power of Gi families with such political backgrounds strengthened their own influences in Goryeo.
    On the other hand, King Chunghye incurred serious resentment of their courtiers for his dogmatic and reckless behaviors, and did not gain high-raking officials' trust. Kangyoung(姜融), Leeneunggan(李陵幹), and Keonhangong(權漢功) claimed the commands of the Yuan Emperor rather than the safety for the king when King Chunghye was arrested. The efforts to rescue the king were just attempted partly by Leejaehyun(李齊賢) and Kimryun(金倫), etc.
    Goyongbu(高龍甫) who had played a leading role for the transfer of King Chunghye exerted strong influence in Won as an eunuch closed to Empres Gi. In addition, Gicheol(奇轍) of Empress Gi's brother and Hongbin(洪彬) of an official from Yuan managed political works of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in place of transferred King Chunghye. These backgrounds suggested that the de facto power related to the removal of King Chunghye was Empress Gi and Gi families.
    Although King Chongmog, his son, ascended the throne after the removal of King Chunghye, Goryeo fell into a chaotic state of political affairs. Goryeo confucionists asked for ‘normal and stable political management’ by a more competent king. The backgrounds that Goryeo confucionists supported King Gongmin were resulted from their recognition of real circumstances of those days. LeeJaehyun and Leegok recognized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Goryeo was not a normal and stable state after the removal of King Chunghye. Therefore, they took active part in helping King Gongmin to the throne after the death of King Chunghye. Leegok(李穀) criticized strongly that ‘Goryeo under King Chungjeong(忠定王) was not a country’. Leejaehyun also insisted strongly self-reflection and self-renovation of a king and his courtiers.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Gongmin, the confucionists had great expectations on King Gongmin but the results were completely different. King Gongmin was under the political demands for new reformation and the political influences of Gi families. However, King Gongmin did not come up to the confucionists' expectations as getting the goals and directions for political management and reformation from Sindon who had kept isolated from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