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타이완 원주민 ‘다바오족’ 「토지 반환」 요구의 제기 (The Taiwanese indigenous Mncaq people’s appeal for return to homeland after the World War I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9.05
25P 미리보기
전후 타이완 원주민 ‘다바오족’ 「토지 반환」 요구의 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2권 / 1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홍지엔롱, 정창원

    초록

    원주민인 다바오족(大豹社群; Mncaq group)의 조상은 오늘날 타이완의 중부 난터우현(南投縣) 런아이향(仁愛鄕) 파샹촌(發祥村; Pinsbukan)에서 기원했다. 수백여 년 전 북쪽에 위치한 다커칸강(大嵙崁溪 혹은 大漢溪) 하류 일대로 이주하여, 오늘날 신베이시(新北市) 싼샤구(三峽區)의 차쟈오(揷角), 요우무(有木), 진민(金敏), 슝쿵(熊空), 둥옌(東眼), 우랴오(五寮) 일대에 다바오(大豹) 및 스랑(侍郞)과 같은 군락을 조성했다.
    19세기 후반 이후, 청나라 조정에 의한 ‘개산무번(開山撫番)’에 이어, 일본정부의 ‘리번(理蕃)정책’ 하에서 지속된 무력 침략을 통해 다바오족 부락의 영토와 생활공간은 마침내 피식민 지역으로 전락하고 만다. 다바오족 주민은 싼샤 지역에서 강제로 추방당한 뒤 타오즈위안팅(桃仔園厅) 쟈오반산(角板山), 즈쉬(志續), 스랑(侍郞) 일대, 즉 현재의 타오위안시(桃園市) 푸싱구(復興區) 북쪽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며 타 지역을 떠도는 이방인 생활을 시작했다.
    태평양전쟁의 종전 전후로부터 21세기에 이른 지금까지도 다바오족은 시종일관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요구를 견지해왔다. 조상이 살던 곳으로 돌아가겠다는 그들의 청원과 행동은 끊이지 않고 전개되었다. 타이완 역사상 이 같은 움직임은 원주민족이 제기한 “내 땅을 돌려달라-토지반환”운동의 시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1980년대 이후 원주민 사회운동에서 가장 추앙받는 대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는 원주민을 주체로 하는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조상의 땅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회귀’를 ‘우리 부족’의 입장과 ‘지역적’ 관점을 통해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필자들은 이 시기 다바오족군 후예들이 거쳤던 부락 발전의 역정과 토지반환운동의 동향을 재현하였다. 더하여 서로 다른 시공의 배경 하에서 ‘싼샤 옛 땅으로의 복귀’라는 다바오족인들의 현실적 문제와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매듭이 어디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타이완원주민의 토지반환 운동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영어초록

    The ancestors of the Mncaq, an indigenous group of people from Taiwan, originated in Pinsbukan (發祥村), Renaixiang (仁愛鄕), Nantou Xian (南投縣) in the middle region of today’s Taiwan. They moved to areas near the lower Tahan River (大漢溪)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aiwan hundreds years ago, and formed villages such as Dabao (大豹) and Shilang (詩朗) in areas in Sanxia Qu (三峽區), Xinbei Shi (新北市) including Chajiao (揷角), Youmu (有木), Jinmin (金敏), Xiongkong (熊空), Dongyan (東眼) and Wuliao (五寮).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ir lands and bases for living were colonized by armed invasions committed under the policy of the Qing Dynasty called Kaishan Fufan (開山撫番, Opening the Mountains and Subjugating the Aborigines) and that of Japan called Lifan (理蕃). People of the Mncaq group were deported from Sanxia and had to move their bases for living to areas such as Taoziyuanting (桃仔園厅), Jiaobanshan (角板山), Zhixu (志續) and Shilang (侍郞), that is, the northern part of Fuxing Qu (復興區), Taoyuan Shi (桃園市), living as a stranger.
    Since the Pacific War ended, the Mncaq group has consistently hold to their demand for return to their hometown up until now in the 21st century. They have continued to carry out campaigns and actions for their return to where their ancestors used to live. Their campaigns not only triggered other Taiwanese indigenous groups’ movements for “returning my land - retrocession” campaigns in the history of Taiwan, but also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revered social movement of indigenous people since the 1980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return (to their ancestors’ lan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digenous people focusing on their viewpoint on ‘my tribe’ and the ‘regional’ perspective of their campaigns. This study attempted to reproduce the journey of the development of villages that the descendants of the Mncaq group went through and their retrocession campaigns, to identify practical problems that they faced in returning to their land, Sanxia, and where they can find knots to resolve the problems under different time and space backgrounds, and to explore their historical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