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카’(アカ)와 ‘빨갱이’의 탄생—‘적(赤-敵) 만들기’와 ‘비국민’의 계보학 (Creation of ‘Aka’(reds in Japanese)와 ‘Bbalgangi(reds in Korean)’ —‘Enemy-Red making’ and Genealogy of ‘Non-Nati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3.12
43P 미리보기
‘아카’(アカ)와 ‘빨갱이’의 탄생—‘적(赤-敵) 만들기’와 ‘비국민’의 계보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00호 / 235 ~ 277페이지
    · 저자명 : 강성현

    초록

    이 글은 적(赤-敵) 만들기의 역사적 구성과 비국민의 계보학의 차원에서 아카와 빨갱이의 탄생을 분석했다.
    아카와 빨갱이는 둘 다 사람의 속성을 ‘빨강(赤)’이라는 색깔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리고 그 의미가 일차적으로 공산주의자를 속되게 지칭하는 것이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의미가 완전히 열린 채 부정의 낙인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그러나 동시에 두 용어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아카는 포섭의 대상이거나 ‘배재한 채 포섭’하는 대상이었다. 1935년을 전후한 아카의 탄생은 애초 사상검찰의 권력 증대 차원에서 시도된 것이었다. 중일전쟁이 태평양전쟁으로 확전되면서 당국이 포섭을 거부하는 아카(비전향자)를 예방구금을 통해 격리시키는 방식으로 배제했지만, 매우 제한된 수였으며 적어도 담론상으로는 이들에 대한 포섭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았다. 또한 아카가 전시 방첩상 이적행위자에 대한 낙인으로도 작용했고, 태평양전쟁 말기에 일부 담론상에서 ‘배제’, ‘박멸’이라는 용어가 잠깐 등장하기도 했지만, 이것이 실제 아카로 낙인된 존재들을 죽음으로 동원했던 것은 아니다.
    이에 반해 빨갱이는 친일과 단선단정 세력이 자신들을 ‘청산’하려는 자기-아닌-존재들을 적과 이단으로 만들기 위해 활용하기 시작한 이름-용어였다. 생존이 걸린 만큼 매우 적대적으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 전후 내전 상황에서, 즉 국가건설, 혁명, 봉기, 내전이 교차하는 예외상태(비상사태)적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동원했다. 빨갱이여서 죽었고, 또한 죽어서 빨갱이가 되었다.
    그리고 아카는 중일전쟁기에 젠더화된 스파이 담론과 결합하였다. 아카-스파이의 성적 대상화는 흥미를 유발시켜 시선을 집중시키고 국민방첩 교육을 극대화시켰으며, ‘총후부인’의 올바른 여성상을 제시하는 기능을 했다. 태평양전쟁기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여성 스파이 이야기보다 직접적으로 국민방첩 실천의 심득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후에도 빨갱이와 간첩의 젠더화 담론은 일정 정도 연속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유혹하는 빨갱이와 간첩의 이야기는 유혹과 그 위험성에 대한 경계를 환기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이들에 대한 극복, 정복의 논리로 절멸과 섬멸을 시사했다. 태평양전쟁기 ‘국외전쟁의 후방’인 식민지 조선과 정부 수립 전후 내전상태로 점철된 남한의 상황은 분명 적(赤-敵)에 대한 차원이 다른 적대성을 만드는 힘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reation of ‘Aka’ and ‘Bbalgangi’ as a historical formation of enemy-red making and geneology of non-nation.
    Aka and Bbalgangi are common with to define one’s characteristic using color ‘red’. As primary meaning, both terms depreciate communist, and the more remarkable common feature is that both open to interpretation and function negative stigma.
    However, these are different in signification. Aka was the target of inclusion or, at least of ‘inclusion but exclusion’. Around 1935, the creation of Aka was originally attempted to increase increasing power of Thought-Prosecutor. Sino-Japanese war spread out to Pacific area, Japanese colonial authority preventively detained Aka(the unconverted) and excluede them from society, but this was limited case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was expressed in discourse. Also, Aka functioned the stigma on (profiting) enemy in wartime counterintelligence, and extremely negative terms like ‘exclustion’, ‘extermination’ appeared for a little while, but these didn’t exterminate Aka.
    However, Bbalgangi is differentiated from Aka since it means the readily-condemned criminal, even as the ‘criminal must be killed’. As it shows, the name-term Bbalgangi already bear the extinction, extermination and possible genocide within. This is a result from radical, extreme signification of Bbalgangi on state of civil war,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ROK government, throughout the process of building a state, revolution and its anti-revolution, rebellion and repression on it; a state of ex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