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전(自傳) 연작시의 텍스트성 연구 - 구상의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autobiographical serial poetry: - Focusing on Sang Gu’s There is a story even behind a knag of a quinc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12
35P 미리보기
자전(自傳) 연작시의 텍스트성 연구 - 구상의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4권 / 301 ~ 335페이지
    · 저자명 : 최도식

    초록

    본 연구는 혼종적 형태의 글쓰기가 내재된 구상의 자전 연작시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를 통해 자전 연작시의 텍스트성을 고찰하였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총 100편의 연작시이며 자전(自傳) 시이다. 이 시는 한국 근현대사의 격동기를 겪은 구상의 실존적 삶의 현실적(역사적) 체험, 내면적(정신적) 세계를 시의 주제와 소재로 다뤘다. 그리고 유년기부터 팔순까지의 연대순으로 자서전적 시간을 구성했다. 이에 본고는 주체의 자기완결성과 과정 중의 텍스트, 서사적인 것과 서정적인 것의 혼종, 기억하기와 상상하기의 교차(경계), 진실 혹은 거짓의 판단 중지의 관점에서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살폈다.
    구상은 연작 시작(詩作)과 100편의 연작에 몰입한다. 이것은 역사의식과 존재인식을 100이라는 자기 완결의 과정으로 담고자 했으며, 그 자기 완결성은 전인성(全人性)을 토대로 한다. 전인성은 그의 삶의 본질적 양식이자 삶과 문학의 조화와 일치를 향한 자기 완결에 대한 욕망이다. 구상의 자서전적 연작시는 자신의 삶과 사상과 문학이 전일된 하나의 세계로 표상되어 형상화된다는 측면에서 주체가 자기 완결성을 추구하지만 한편으로는 주체가 타자, 사회, 세계, 또 시대와 관계 맺는 과정 중에 끊임없이 사상이 전도되고 시의 세계가 변화하는 과정 중에 놓여있다는 점에서는 과정 중의 텍스트이기도 하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사물과 자기와의 새로운 관계와 새로운 질서를 통한 자아의 발견이다. 구상은 한 편 한 편의 시에 역사의식, 시대상황, 존재인식을 서정적인 시적 자아의 세계로 담는다. 그러나 그 시편이 하나의 연작 텍스트로 수렴되면 서사를 이루게 된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주석이 덧붙여 있다. 주석에 의한 보충하기는 ‘자아’와 ‘텍스트’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자서전적인 텍스트성을 ‘자기 자신의 것’으로 명명한다. 이로 인해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연작 형식에서는 서사적 텍스트성을 유지하며, 하나하나의 개별 텍스트는 자아의 서정적 발화로 드러난다. 따라서 서사적인 것과 서정적인 것의 혼종성이라는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보인다.
    자서전적 텍스트는 서사를 통해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담는다. 서사는 역사적 사건과 허구적 사건으로 구성되며 과거의 실재성에 빚지고 있다. 사실은 기억 안의 사실이며, 허구는 상상 안의 허구이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의 자서전적 텍스트성은 기억하기와 상상하기의 교차점, 즉 기억하기/상상하기, 사실/허구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기억하기는 재형성하기를 통해 연대기적인 시간으로 재구성된다. 그리고 체험된 시간은 자기 자신의 기억이나 상상에 의해 기술된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기억과 상상, 사실과 허구의 경계면을 통해 실존의 문제와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연작으로 성찰한다.
    진실과 거짓의 문제는 자서전 장르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런데 진실과 거짓을 정확하게 구분하기란 어렵다. 과거의 진실은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기에 과거의 기술은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구상이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의 서문에 밝히고 있는 ‘에토스적인 나의 삶의 독자성’은 진실의 관점이며, ‘나의 시의 독창성의 방법론’은 시적 상상력에 해당하는 거짓의 관점이다. 따라서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자서전이면서도 시(문학)라는 혼종적 텍스트이며, 사실도 거짓도 아닌, 경험된 것이라는 ‘현실’의 층위에서 둘 사이의 경계면에 놓여 있는 텍스트이다. 구상의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구상의 말마따나 자전(自傳)이라는 점에서 진실이다. 그러나 연작시, 곧 문학 작품이라는 점에서 진실일 수 없는 거짓(허구)이다. 과거를 재구성하여 현재를 그려낸 그의 시적 행위에 내포된 의미는 진실 혹은 거짓에 대한 판단 중지를 통해 현재의 나(우리)를 어떤 목적이나 방법에 종속시키기보다 새로운 시대정신을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ity of autobiographical serial poetry through Sang Gu’s There is a story even behind a knag of a quince, which entails the style of mixed writing. There is a story even behind a knag of a quince consists of 100 autobiographical serial poems. The work covered Sang Gu’s realistic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 inner (spiritual) world of existential life who underwent the turbulen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 And the autobiographical time of the work is in a chronological order from childhood to the age of eighty. Give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poem, This paper examines the autobiographical textuality, focusing on the mixed nature of his writing style. In the work, he mixes 1) self-completeness of the subject and text in process, 2) the narrative and the lyrical, 3) memory and imagination, and 4) judgment of truth and falsehood. Throughout the paper, I will show how those mixings determine its peculiar autobiographical textuality.
    The poet is immersed in 100 episodes. He has poet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existence. It is the process of self-completion. His self - completeness is based on totality. Overall is the essence of his life. He shows the desire of self-perfection through harmony and harmony of life and literature. In the book of autobiography of the idea, his life, thoughts and literature appear as one world. And the subject pursues self-completeness.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has relationships with others, society, the world, and the times. The relationship is in the process. The process of text changes ideas and changes the world of poetry. Therefore it is the text in the process.
    The series poem i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self. And the discovery of the self through the new order. In the text, the poet describ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age situation, and the perception of existence. Lyrical poetry is a world of poetic self. But when poem becomes a series text, it becomes a narrative. Series text has annotations. Supplementation of annotations occurs at the boundary of the self and the text. This is the textuality of the autobiographical text. The autobiographical text calls itself. Series format maintains narrative textuality. And the individual text is the lyrical utterance of the self. Therefore, it is a hybrid of epic and lyrical. Hypogonality is autobiographical textuality.
    Autobiography text is narrative, my life and story. The narrative is a historical event and a fictional event. The past is real. The fact is in memory. Fiction is an imaginary fiction. Autobiography textuality is the intersection of memory and imagination. Memory / imagination, fact / fiction is the boundary. It is located at the border. Memory is representation. The representation is reconstructed in time. And the time of experience is the memory of oneself. Memory is described by imagination. Series texts are memories and imaginations, facts and fiction. This is a reflection of existence, reality, and ideology.
    Truth and lie are the problems of autobiography. This is important. And truth and falsehood can not be distinguished. The division is ambiguous. The truth of the past can not be.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ast depends on memory. In the preface to the series poem, the life of Ethos is unique. And poetry is originality. Uniqueness is the truth. Creativity is fiction. So the series poem is autobiography and literature. Autobiography and literature are in one place. This is a hybrid text. It is not true. It is not a lie. This is an experience and a reality. And this is on the borderline. The series poem is an autobiography, so it is true. And the series poem is fiction because it is literature. Truth and fiction can not be judged. Therefore, judgment must be stopped. We should not depend on purpose, method. We must explore the spirit of a new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