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懶翁作 <西往歌> 一考 (Consideration a work of Na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懶翁作 &lt;西往歌&gt;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43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이병철

    초록

    나옹화상(1320~1376)의 <서왕가(西往歌)>는 연구 초부터 가사의 효시 문제와 관련해 불교가사 연구에 지속적인 주목을 받으며 관심을 모았다. 나옹을 둘러싼 가사발생과 관련한 <서왕가>의 논의는 기간으로나 양적으로나 상당한 연구가 제기되었고 긍정과 부정으로 확고히 나누어져, 통일된 시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나옹에 대한 기존 연구사의 검토는 본고의 논의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토대가 됨은 물론이요, 필자의 견해를 피력함에 있어 보다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논의의 과정이 될 것으로 본다.
    <서왕가>의 내용은 인생무상(人生無常)을 느끼게 되어 부모 슬하를 하직하고 홀몸으로 출가하여 깨달음을 궁구하는 내용이다. 즉 금생(今生)에 공덕(功德)은 후생(後生)에 수(受)하는 것이니 하루아침 티끌과 같은 세상에 즐거움만 탐하지 말고 부단히 수도(修道)와 염불(念佛)을 잊지 말아 극락(極樂)으로 왕생(往生)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서왕가>는 극락왕생과 관련한 서사적 내용을 지적할 수 있으며, 그 전체적 진술은 불교적 세계관을 이론적이고 실제적이면서 동시에 호소적인 제시와 주장을 토대로, 설득을 드러내는 교술 지향성도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서왕가>에 드러나는 왕생정토사상(往生淨土思想)은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으로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과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의미가 근저(根底)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론을 통해 제기한 것은 <서왕가(西往歌)>와 『나옹집(懶翁集)』을 토대로 나옹의 어록(語錄)이나 가송(歌頌)은 물론 그의 불교적 생애와 교리를 바탕으로 내용에 유기적 관련성에 유의하여 논의를 시도했다. 특히 나옹에게 있어 염불(念佛)은 청정한 마음을 가짐으로써 해탈문(解脫門)에 이르기를 바라는 나옹의 대중을 향한 의지와 미타일념(彌陀一念)의 염불행이 녹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서왕가>는 염불의 의미와 마음의 수양과 관련한 문맥이 각각 7회와 6회에 걸쳐 고르게 반복되고 있음을 볼 때, 나옹의 염불행(念佛行)은 항시 불타(佛陀)를 상고하여 심신을 수양하는 선사상(禪思想)에 발로였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나옹의 염불론(念佛論)은 심즉불(心卽佛)의 선사상(禪思想)을 이해하는 발로로 그 특징을 담아내고 있다.
    염불(念佛)이야말로 부처를 일념으로 상고하는 과정이기에 나옹은 바른 마음의 수양으로, 대중에게 극락왕생(極樂往生)을 위한 염불행(念佛行)을 권면한 것이다. 따라서 나옹이 선승(禪僧)의 계승자이기에 염불의 의미를 말할 수 없거나, 말하지 않는다는 양분적 입장은 호응을 얻기 어렵다. 고려 말기는 오히려 불교의 쇠퇴기로, 대중을 위한 우리말 불교가사의 창작과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었을 뿐 아니라, 『나옹집(懶翁集)』을 통해서도 나옹은 그러한 시대 현실을 매우 안타깝게 토로하고 있다. 요컨대 모든 역사적 흐름이나 문학 장르의 정형적 형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前) 단계의 태동기가 있듯, 고려 말 불교시가의 전통적 흐름은 곧 조선조 시가 형성에 맞닿아 있어 그 근거를 제시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re is a divided view on <Seowangga> composed by Naong among disputants. In a view on the development theory of Kasa literature, its evaluation as a forgery is remarkable, and accordingly Seowanga composed by Naong has many uncertainties in the source, content and expressionability and lacks literary production.
    On the contrary, it can be seen that discussion over the traditional interest in the Buddhist poetry tend to recognize that it was composed by Naong. But theblock book or source of Seowangga known to be composed by Naong was formed in the future generations, and it is clear that it has not been preserved as the original form is.
    ㆍBut it would not be easy to ignore the records of the block book that has been known to be composed by Naong though the composer of 'Seongwanga' might be Naong and its original form was changed.
    ㆍ‘Daemitachamryakyorambokwonyeombulmun’ reprinted by Sudosa Temple in the 17th reigning year of king Youngjo(1741), Yembulbokwonmun of the Yongmuasa edition in Youngbyeon reprinted by Yongmumsa Temple in the 41th reigning year of king Youngjo(1765), Yeombulbokwonmun and Shinpyonbokwonmun reprinted by Haeinsa Temple in Hapcheon, in the 52th reigning year of king Youngjo (1776), and Bokwonmun of the Seonunsa edition reprinted by Seonunsa Temple in the 11th reigning year of king Jeongjo record 'Seowangga composed by Naong Hwasang' by making clear its composer and work. And two different versions of it collected by Kwon Sang-ro was introduced.
    Like this, the reality is that the discovery of the blook book or different version reprinted throughout various ages cannot be ignored in terms of religious necessity or independent popularity. Moreover, contents concernig the life or Buddhist invocation of Naong shown though the <Collection of Naong's Literary Work> were made clear as they are contained the Kasa of <Seonwanga>. Accordingly, there is no gainsaying that 'Seowangga' has been known to be composed by Naong through the block book or different version of it for a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