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雪嵒 權玉鉉의 喪禮 儀節 (A study on the sanglye rituals of Seolam Kwon Ok-hy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12
28P 미리보기
雪嵒 權玉鉉의 喪禮 儀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40호 / 211 ~ 238페이지
    · 저자명 : 정길연

    초록

    본고는 20세기 한학자인 설암 권옥현의 예설 가운데 상례 부분을 3가지 주제로 고찰하였다.
    아내의 초상을 당해 졸곡 뒤에 선친 기일을 만난 경우 제사 문제, 아내의 상을 당해 장사지내기 전에 친상을 당한 경우 상복 문제, 喪杖이 아내의 朞年喪 조에 있는 이유, 出母한 경우 외손은 외조부에게 복이 없으나 외조부는 외손에게 복이 있다는 등의 문제들은, 모두 변례에 속하는 것으로 일찍부터 여러 학자 사이에서 일정한 논의가 제기되었던 것들이다. 또 朝夕으로 올리는 上食을 세끼 모두 올리는 문제, 父在母喪에 상식 올리는 기간 등은, 당시에 비록 전통 예제가 무너졌지만, 여전히 일부 예제를 지키는 집안에서는 충분히 논의의 대상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改葬節에서는 국가의 전력공사로 인해 前妣의 묘소를 後妣의 묘역에 나란히 쓰는 문제에 대해 추연에게 합당한 방법을 논의했고, 어머니의 상중에 아버지의 묘소를 개장할 경우 복제 문제는 수암 권상하의 설과 일치함을 보였다. 그리고 개장하려고 파묘를 했는데 뜻밖의 사정으로 인해 임시 가매장을 하고 훗날을 도모해야 할 경우 시마복 입는 기간 문제는, 노론학자의 설과 남인학자의 설이 서로 차이가 있는데 어떻게 결정했는지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끝으로 초우제 축문 중에 ‘哀薦祫事’의 ‘祫’자와 길제 축문에 ‘祔食’이란 용어의 의미, 祖奠告辭 중에 ‘祖道’와 ‘柩車’ 등과 慰疏 중에 ‘卽日蒙恩’에 대한 해석 등은, 모두 지극히 사소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이미 정식 예제로 정해진 것들이다. 그러나 설암은 조금이라도 자신의 견해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반드시 밖으로 드러내어 의문을 해결하려고 했다.
    이로써 볼 때 설암의 예설 논의는 상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변례와 이미 정례로 정해진 축문 및 위소 구절에 대한 합당한 판단과 명확한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덧붙이자면, 지금은 기제사마저 지내지 않는 집안이 늘고 있는 시대에 상례 의절을 논하는 것이 우활하기 그지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상에 전통 예제가 시행되지 않는다고 하여 예설 논의마저 끊어진다면, 공자가 말한 存羊의 의미마저 사라져 버려 끝내는 우리 고유 의절의 실마리를 찾을 수도 없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part related to sangrye among the prophecies of Seolam(雪嵒) Kwon Ok-hyeon(權玉鉉). Seolam inherited his family's studies from Manjae(萬齋) Kwon Jae-chun(權載春) and Ilheon(一軒) Kwon Jae-hwan(權載丸) when he was young, and when he grew up he learned from Chuyeon(秋淵) Kwon Yong-hyeon(權龍鉉), a scholar from a nearby village. Most of the letters asked about her, especially her uncle Kwon Jae-chun and her younger father Kwon Jae-hwan.
    The issue of ancestral rites when meeting the anniversary of the father's death after receiving his wife's portrait, the issue of mourning when receiving his wife's prize before being buried, the issue of maternal grandchildren wearing mourning robes to their grandchildren, but the maternal grandparents wearing mourning robes to their grandchildren when they are born, all belong to the banrye(變禮). They also discussed issues such as the problem of serving all three meals for breakfast and dinner, and the period of serving food when the father is alive and the mother is dead. This would have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the family that kept the traditional example at the time.
    On the opening day(改葬節), we discussed the proper method for Chu Yan regarding the issue of using the tomb of the former concubine side by side in the grave of the future concubine due to the power construction of the state. In the case of remodeling, the replication problem was consistent with Suam(遂庵) Kwon Sang-ha(權尙夏).
    We moved to another place and dug a grave to hold a funeral, but we discussed the period of wearing the shimabok if we had to do it the next day due to unexpected circumstance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heory of the Noron(老論) scholar and that of the Nam In(南人) scholar, and it is not possible to know in detail how the decision was made.
    Lastly, I looked into the terms Seolam was suspicious of among the contents of the texts and historical records. Not only are these all very trivial issues, but they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as formal examples. However, Seolam tried to clarify the question by always revealing things that did not conform to her vie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