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발적 참여에 의한 초등온라인학습공동체에서의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의 특징 탐색 (Exploration of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Process and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untary Online Learning Communi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자발적 참여에 의한 초등온라인학습공동체에서의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의 특징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32권 / 2호 / 327 ~ 354페이지
    · 저자명 : 성혜성, 김현진

    초록

    학습자들은 웹 2.0을 적용한 학습플랫폼에서 온라인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하고 있는 학습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학교 밖의 온라인 공간에서 학습자들은 활발하게 학습공동체를 이루어 학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생성하고 참여한 온라인학습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진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초등 온라인학습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놀이터’의 스터디그룹 중 하나를 사례로 선정하여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게시판에 남겨진 게시글과 댓글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한 새로운 분석틀을 토대로 담화를 코드화하여 CORDTRA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협력적 지식형성과정의 특징과 학습자의 참여 양상을 살펴보았다. 초등 협력적 지식형성과정은 6개의 단계, ‘과제의 공식화’, ‘개인학습외면화’, ‘관점의 협의’, ‘의미의 명확화’, ‘학습에 대한 비평’, ‘학습관리’로 이루어졌으며 한 과제 안에서 각각의 단계들이 분산되어 짧은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참여 양상은 참여하는 시기에 따라 분산된 참여 양상을 보였고, 학습자들은 정해진 역할 없이 여러 역할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모습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초등 온라인학습공동체에서는 협력적 지식형성과정이 짧고, 분산적으로 나타나 공통의 산출물을 만들어내지는 않았으나 학습자들이 학습의 주체자로서 협력학습을 하고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환경 설계를 위한 시사점은 주제 중심의 토론 게시판 구조 지원과 깊이 있는 협력과정 지원이다. 후속연구는 보다 다양한 사례연구와 개인의 내면화를 분석할 수 있도록 관찰 이외에 심층면담이 포함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A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xpands a learning space which was limited inside of school to online space, elementary students build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outside of the school. To understand how learners study,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learning. For the purpose, the one of study groups in ‘Hagseubnol-iteo’ was picked as a case, collected every messages and comments in the board from December, 2013 to May, 2014. Col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coded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framework of content and analytic induction, and shown as CORDTRA (Chronologically-Ordered Representations of Discourse and Tool-Related Activity) dia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process consists of six categories; ‘Assignment’s formulation’, ‘Disregard of individual learning’, ‘Consultation of perspective’, ‘Clearness of the meaning’, ‘Criticism on learning’ and ‘Learning management’. Also, the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process with those six processes was distributed and appeared in a non-sequential order. Also, learners show the dispersed participation forms and characteristics with no specific roles and perform overall role. The implications for design include theme-based discussion board structure rather than chronicle one and support for in-depth discussion and knowledge construct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various cases of informal online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ers’ internalization of collaborative knowledge via in-depth interview in addition to obser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