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광지화에 따른 디아스포라 공간의 장소성 재편 – 오사카 코리아타운의 장소, 미디어, 행위 경관 분석 (Reframing the Placeness of Diaspora Spaces by Tourism Development - Analysis of the Place, Media, and Agency Landscape of Osaka Tsuruhashi Station-Koreatow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1.10
46P 미리보기
관광지화에 따른 디아스포라 공간의 장소성 재편 – 오사카 코리아타운의 장소, 미디어, 행위 경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로컬리티 인문학 / 26호 / 173 ~ 218페이지
    · 저자명 : 안종수

    초록

    이 글은 식민지 시대부터 형성된 일본 내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공간인 ‘오사카 코리아타운’이 일본 관서지방 한류소비의 중심지로 변모하면서 나타나게 된 장소 경관을 분석한 것이다. 코리아타운은 식민지 시대 이민에 의해 형성된 조선인 집거지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조선시장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조선시장은 일본의 차별과 조국 분단 속에서 살아온 재일코리안들의 기억이 새겨진 장소로, 1993년 재일코리안들의 조선시장 살리기의 일환으로 코리아타운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한편, 2000년부터 일본에서의 한류 열풍은 코리아타운을 뜻하지 않게 ‘인기 관광지’로 만들어 버렸으며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와 소셜미디어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관광객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기존의 관광객들과는 달리 코리아타운을 방문하는데 있어 한일 간의 정치 갈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불편한 시설과 제한된 볼거리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코리아타운을 방문할 뿐만 아니라 각종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코리아타운을 홍보한다. 이 새로운 관광객들은 신체를 통한 감각으로 코리아타운을 마주한다. 그리고 이 ‘나름대로의 감각’으로 재현된 코리아타운은 각종 소셜미디어를 타고 날아가 ‘관광객들의 코리아타운’을 만들어낸다. 관광객들의 코리아타운은 현지인의 그것과는 다르다. ‘열려있는 장소’ 개념에서는 그 중 어떤 것이 ‘진짜’라고 할 수 없으며 그 어느 것도 장소감을 느끼는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진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소의 생산은 끊임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장소에서 수많은 다른 장소가 뻗어 나올 수도 있고 무수한 장소가 동시에 중첩될 수도 있다. 이처럼 현재의 코리아타운은 재일코리안들이 세운 역사적, 상징적 토대 위에 한류의 취향을 공유하는 관광객과 상인 그리고 인터넷 미디어의 재매개(remediation)가 만들어내는 ‘현대적 장소’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mporary place landscape of Osaka Koreatown (hereafter “Koreatown”), a Zainichi Korean diaspora space in Japan that 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ts transformation into a center for hallyu (Korean Wave) consumption in Japan. Koreatown, initially known as “Chosen Market,” formed naturally in a settlement populated by Korean immigrants during the colonial era. Chosen Market stood as a physical reminder of the discrimination and societal segregation that Zainichi Koreans have faced in Japan. In 1993, with the aim of revitalizing the market, the Zainichi Korean community renamed the area “Koreatown.” Since 2000, the explosion of hallyu culture in Japan has rather unexpectedly turned Koreatown into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in particular drawing in tourists who are avid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 users. This demographic of tourists, unlike traditional tourists, are unaffected by polit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when visiting Koreatown. Despite the inconvenient facilities and limited attractions, these tourists not only continue to flow into the area but also enthusiastically promote Koreatown on social media. These new tourists seek to experience Koreatown through their bodily senses, and this iteration of Koreatown exudes a unique sensory appeal that goes viral on social media,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a “Koreatown for tourists.” However, this Koreatown for tourists is different from the space that exists for locals. Among open space concepts is the idea that no one space can be truly authentic and that any place can become authentic depending on who feels the sense of place. Additionally, since creation of these places is continuous, several places may coexist in one physical location, meaning that an infinite number of places could potentially overlap simultaneously. Owing to this, the contemporary Koreatown, layered on top of a foundation of Zainichi Korean history and symbols, can be called a “modern place” thanks to the remediation of internet media and hallyu culture-driven tourists and vend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