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Monitoring of Commercial Shrimp Products Sold in Online Markets of South Kor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3.12
12P 미리보기
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8권 / 6호 / 496 ~ 507페이지
    · 저자명 : 김건희, 이지영, 강태선

    초록

    본 연구는 대한민국 온라인 시장에서 판매되는 48개의 새 우 제품의 종판별 및 제품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조사하 였다. 사용 원재료의 종 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및 BOLD system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또한 계통분석을 수행하여 동정된 새우종을 추 가로 검증했다. 종판별 결과 총 16종[흰다리새우(Penaeus vannamei, Whiteleg shrimp or Pacific white shrimp), 북쪽분 홍새우(Pandalus borealis, Alaskan pink shrimp), 그라비새우 (Palaemon gravieri, Chinese ditch prawn), 돗대기새우 (Leptochela gracilis, Lesser glass shrimp), 얼룩새우(Penaeus monodon, Giant tiger prawn), 아르헨티나붉은새우(Pleoticus muelleri, Argentine red shrimp),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 Kishi velvet shrimp), 태평양난바다곤 쟁이(Euphausia pacifica, Isada krill), 가시배새우(Lebbeus groenlandicus, Spiny lebbeid),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 Southern rough shrimp), 진흙새우(Argis lar, Kuro shrimp), 가시발새우(Metanephrops thomsoni, Red-banded lobster), 깔깔새우(Metapenaeopsis barbata, Whiskered velvet shrimp), 긴발딱총새우(Alpheus japonicus, Japanese snapping shrimp), 대하(Penaeus chinensis, Fleshy prawn), 긴뿔민새우 (Mierspenaeopsis hardwickii, Spear shrimp)]이 확인되었으며 , 흰다리새우(n=22, 45.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 반명 ‘새우’를 포함하는 35개 제품(72.9%)에서 표시사항과 불일치를 나타내었으며, 일반명(n=30)을 제외할 경우 불일 치율은 10.4%로 낮아졌다. 가공 정도별 불일치율은 다중 가 공 제품(n=25, 89.3%)이 단순 가공 제품(n=10, 50%)보다 높 은 비율을 보였다. 원산지별 분석 결과 특정 국가와 불일치 율과의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새우 제품의 모니터링 수행 및 새우의 국명 표시 개선을 위 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of 48 shrimp products sold in the Korean online markets.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tandard DNA barcoding method, using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The obtained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deposited in the NCBI GenBank and BOLD Systems databases. Additionally,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further verify the iden tified shrimp species. Consequently, 16 shrimp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Penaeus vannamei, Pandalus bore alis, Palaemon gravieri, Leptochela gracilis, Penaeus monodon, Pleoticus muelleri, Metapenaeopsis dalei, Euphausia pacifica, Lebbeus groenlandicus, Trachypenaeus curvirostris, Argis lar, Metanephrops thomsoni, Metape naeopsis barbata, Alpheus japonicus, Penaeus chinensis, and Mierspenaeopsis hardwickii. The most prevalent species was Penaeus vannamei, found in 45.8% of the analyzed products. A significant mislabeling rate of 72.9% was found; however, upon excluding generic names such as shrimp, the mislabeling rate reduced to 10.4%. The mislabel ing rate was higher in highly-processed products (89.3%) compared with that in minimally-processed products (50%).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untry of origin and mislabeling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rucial data for future monitoring of shrimp products and improving the labeling of shrimp speci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