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약바이오산업 혁신 효율성 국가 비교 연구 (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Innovation Efficiency of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0.06
33P 미리보기
제약바이오산업 혁신 효율성 국가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26권 / 2호 / 25 ~ 57페이지
    · 저자명 : 박하영, 차민경, 이혜린

    초록

    제약바이오산업은 높은 첨단기술 의존도와 미래 성장성으로 인해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관심을 가지고 육성하는 분야이나 여전히 미국을 비롯한 몇몇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는 산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바이오산업의 국가별 혁신(신약개발) 효율성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그 결과가 제약바이오산업을 국가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OECD 20개 국가의 제약바이오산업 연구개발 투입(연구개발비 지출, 연구개발 인력) 및 산출(논문, 특허, 임상시험, 신약)에 대한 2001~2018년 자료를 이용해서 메타효율변경분석을 적용한 연구 및 개발의 2단계 네트워크 자료포락분석법을 수행했다. 또한, 연구대상 기간 중 국가별 연구 및 개발 효율성의 연평균 증감률 분석을 통해서 국가별 효율성의 증감 추세와 패턴의 파악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첫째, 전통적인 제약 강국인 미국, 영국, 스위스, 일본, 독일, 아일랜드 등은 다른 국가에 비해서 높은 혁신성과를 보였으나 이들은 혁신 효율성 측면에서 네 개의 다른 특성을 갖는 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둘째, 2010년 전후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졌던 제약바이오산업의 혁신 생산성 저하는 연구단계보다는 개발단계에서의 생산성 저하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고, 생산성 저하 현상도 국가 그룹별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 제약바이오산업 신약개발 효율성은 연구대상 기간 동안 연구 및 개발 효율성과 전반적 효율성 모두가 크게 개선되었으나 아직 개발 효율성이 절대적으로 낮아서(2018년 미국 전반적 효율성 0.18 대비 0.02) 투입요소와 중간 산출물의 규모가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으나 이를 최종 산출물인 FDA 허가 신약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우리 제약바이오산업이 국가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 활성화와 관련 인재확보를 통한 개발역량 확충과 이를 통한 개발단계 효율성 향상이 가장 시급해 보였다. 또한, 질 좋은 신약물질의 개발단계로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 제약바이오기업과 대학 및 공공연구소의 제휴를 활성화하는 한편, 대학 및 연구소 실험실 창업 활성화가 필요하며, 일부 제약바이오산업 선진국들이 경험하고 있는 혁신 생산성 저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기업들의 규모가 크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신약개발 연구 및 개발단계 효율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료나 연구방법 등에 기인하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많지 않았던 제약바이오산업에서의 국가별 신약개발 효율성의 정량적 비교·분석을 통해서 주요 제약 강국들의 혁신체계 요소들의 규모와 연구 및 개발단계 각각의 효율성과 이들의 변화패턴을 파악하고, 이 같은 결과가 신흥국의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oth emerging and advanced economies have been eager to develop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as their future economic growth engin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ountries who are aspired to develop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analyses and comparison of national innovation efficiencies in the new drug development. We collected biopharmaceut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put (expenditures and number of researchers) and output (publication, patent, clinical trials, and new drugs) data between 2001 and 2018 for 20 OECD countries, and analyzed them using the two-stage network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ith the meta-frontier framework.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i) traditional industry leaders achieved high levels of innovation performance, although there were distinct groups of countries regarding their innovat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ii) the innovation gap cited by previous studies seemed to be caused by the decrease in development efficiency rather than research efficiency, and the prevalence of the problem was not universal, and iii) extremely low development efficiency was hindering the Korean biopharmaceutical industry from harvesting the final innovation outcome, despite its steady improve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efficiencies during the study period. Building the development capability through open innovation and manpower acquisition seemed to be the most eminent policy priority at this stage for Korea to succeed in its efforts to become one of leading nations in this industry. This study contributed in providing policy makers with insights in formulating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policy despite several limitations due to data and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건경제와 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