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마천(司馬遷)의 '복수(復讐)의 인문학'-《사기(史記)》〈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다시 읽기(2) (The Humanities of Revenge by Sama Cheon(司馬遷) - Re-reading Oh Jaseo Yeoljeon(伍子胥列傳) of Sagi(史記)(2))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4.08
24P 미리보기
사마천(司馬遷)의 '복수(復讐)의 인문학'-《사기(史記)》〈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다시 읽기(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 / 120권 / 75 ~ 98페이지
    · 저자명 : 김월회

    초록

    이 논문은 〈오자서열전〉을 선진(先秦)시기 이래 수행되어 온 복수에 대한 담론의 역사에 위치시켜 다시 읽어냄으로써 그것을 전근대시기 중국 복수론의 중요한 텍스트로 재정립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작업은 모두 2편의 논문을 통해 수행되는데, 이 논문은 그 중 두 번째 논문으로 〈오자서열전〉에 담겨 있는 사마천의 복수론을 분석한 글이다. 〈오자서열전〉에는 오자서의 부친의 원수에 대한 복수 등 모두 8가지의 복수 서사가 담겨 있고, 이 중 오자서의 복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7가지이다. 이 7가지 복수 서사에는 가령 “복수는 추가적 피해를 야기한다”, “복수는 폭력의 끊임없는 연쇄를 유발한다”, “복수는 잔인함을 곧잘 초래한다”, “사적 복수임에도 공적인 힘이나 장치 등을 이용하고자 한다”, “복수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초래한다” 등과 같은 복수 관련 화두가 풍요롭게 담겨 있다. 사마천은 오자서의 복수 서사를 바탕으로 자기보다 앞선 시대에 수행된 복수론을 총괄하면서 ‘복수의 인문학’이라고 할 만한 복수론을 펼쳐냈다. 그리고 〈오자서열전〉에서 오자서의 복수를 이러한 복수의 인문학을 잘 구현한 대표적 복수 사례로 서술함으로써 오자서를 복수의 달인으로 새롭게 빚어냈으며, 〈오자서열전〉을 고대 중국의 복수론의 역사에서 한 획을 긋는 중요한 텍스트로 빚어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designed to re-read Oh Jaseo Yeoljeon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course on revenge that has been fulfilled since the Pre-Jin(秦) period, and to re-establish it as an important text in Chinese revenge theory in the premodern period. This will be accomplished through two papers. This is the second of papers, which aims to analyze Sama Cheon(司馬遷)’s theory of revenge in Oh Jaseo Yeoljeon. Oh Jaseo Yeoljeon contains eight revenge narratives, seven of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Oh Jaseo’s revenge, including avenging his father’s enemy. These seven revenge narratives are rich in revenge-related themes, such as “revenge causes additional harm”, “revenge triggers an endless chain of violence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revenge often leads to cruelty”, “revenge is a private revenge, but the revenge seeks to utilize public power or institutional devices”, and “revenge creates an ethical dilemma” ect. Based on these, Sama Cheon synthesized the revenge discourses carried out in previous periods and developed a revenge theory that can be called the “humanities of revenge”. By describing Oh Jaseo’s revenge in Oh Jaseo Yeoljeon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venge that exemplifies the humanities of revenge, Sima Qian was able to re-create Oh Jaseo as a master of revenge and make Oh Jaseo Yeoljeon an important text in the history of revenge theory in ancient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