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蕉田 吳珣이 그린 산수화 연구 (A Study on Landscapes Painted by Chojeon(蕉田) O Sun(吳珣) the Court Painter at Gyujanggak in Lat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8.06
31P 미리보기
蕉田 吳珣이 그린 산수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3호 / 64 ~ 94페이지
    · 저자명 : 박수홍

    초록

    본 연구는 화원화가 吳珣을 소개하고, 그가 그린 산수화의 특징을 다루었다. 오순은 正祖·純祖 연간에 활동한 화원으로 도화서와 규장각에 있으면서 국가가 필요한 그림을 그렸다. 당시 문인들의 문집에도 소개되고 궁중의 기록에도 나오는 이름 있는 화원이지만, 전하는 작품이 적어 오순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최근에 새로운 그림과 기록이 발견되어 한 작가의 생애와 작품을 비로소 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오순은 전라북도 부안에서 태어나 정조 연간부터 화원으로 활동하였다. 1812년 차비대령화원이 되어 효명세자(1809-1830)의 책례 때 儀物인 玉印의 글자를 다듬는데 참여하였다. 그러면서 6년 동안 녹취재를 보았는데, 산수와 영모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화가로서 명성을 얻었다. 궁중에서 나온 오순은 술과 담배를 즐기며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면서 여든이 가까운 나이까지 살았다.
    오순의 작품은 주로 산수화가 남아 있는데, 그중 당시 화원들이 즐겨 그린 <山靜日長圖>가 있다. 그동안 낙장으로 각각 소개된 작품을 모아 다섯 폭이 하나의 병풍인 것을 밝혔다. 이 작품은 소재와 내용으로 보면 남종화풍이지만 섬세한 표현, 짙고 옅음에 능숙한 발묵, 청아한 담채를 사용하여 오순만의 산수화를 이룩해 냈다. 또한 작품 곳곳에 같은 시기에 화원으로 활동한 김홍도, 이인문의 영향도 드러난다. 이것을 바탕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개성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순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남종화풍으로 옅은 먹과 채색을 사용하여 화첩에 그린 夏景山水圖가 두 점이 있다. 시선이 중앙에 집중되는 X자 구도로 그려진 이 작품들은 화첩을 펴고 감상할 때 작은 화면에 잘 어울리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녹음이 우거지고 비 내리는 모습을 수묵의 번짐과 옅은 채색으로 습윤하게 묘사하였다. 집중된 구도 처리, 능숙한 채색과 발묵에서 오순의 특징을 볼 수 있다.
    새로 소개한 전라남도 화순군 규남박물관 소장 <四季山水圖> 병풍은 오순이 70세 때 그린 노년의 작품이다. 활달하고 자유로운 필선으로 그린 이 작품은 그의 기록에서 언급되던 개인적 기질이 화폭에 그대로 드러나 있고, 그 필치에는 완숙미가 넘친다. 작품 곳곳에 겸재 정선의 나무표현이 나타나며 兩筆法으로 경물을 묘사하였다. 각 폭에 칠해진 옅은 담채는 전체적으로 청아하여 산수화의 완성도를 높여주고 있다.
    화원 시절과 말년의 작품 모두 남종화풍의 영향과 앞선 조선화가들의 화풍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하지만 화원 시절에 그린 작품은 다양하면서 섬세하게 표현했고, 노년 시절의 작품은 노련한 필치로 활달하고 자유롭게 그렸다. 오순의 작품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제는 정형산수화에서도 조선화가들의 화풍이 드러나기 시작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것은 영·정조 시기 조선화가들의 고유한 회화적 역량이 쌓이면서, 후대 화가들의 작품에 그 영향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록에 비해 오순의 작품이 적어 전반적인 화풍의 변화를 알아보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앞으로 그의 작품들이 더 발견되어 조선후기 회화사를 대표하는 화가가 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roduces the court painter O Sun(吳珣, birth and death dates unknown),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landscape paintings. O served as a painter, producing the paintings of the national need in Dohwaseo and Gyujanggak ― the royal library ― during the reigns of King Jeongjo and Sunjo. Although he seems to be a famous painter, being introduced in anthologies and court records of the time, there was no research on O Sun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works remained. Recently, new work and documents have been discovered, which enabled to illuminate the artist's life and work.
    O Sun was born in Buan, Jeollabuk-do, and started working as a court painter from the reign of King Jeongjo. He became a member of Chabidaeryeong Hwawon(差備待令畵員), a group of “painters-in-waiting” who served at the royal court, in 1812. In the process of crowning Prince Hyomyeong(1809–1830), O participated in the adjusting of carved letters on the jade royal seal. He took Nokchwijae(祿取才) ― the competitive examination to select skilled painters ― for six years and gained fame as a painter with a good reputation in landscape painting and animal painting. After coming out of the court, he lived up to the age of eighty while enjoying drinking, smoking, making poems and painting.
    The remained works of O Sun are mostly landscape paintings; among them is Long Days in the Quiet Mountains(山靜日長圖), the theme that the court painters favore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five pieces of Long Days in the Quiet Mountains, have been known one by one, were originally forming an eight-fold folding screen. This work follows the Southern School in the subject and content, but the sophisticated expressions, the fine effects of light and shade seen in ink spreading, and the pure and thin coloring all characterize the original landscape of O Sun. The painting is dotted with the influence of Kim Hongdo(金弘道) and Yi Yinmun(李寅文). Based upon these, this work is considered to be O's representative work because it has a well-organized composition and original expressions.
    Meanwhile, there are two examples of Summer Landscape(夏景山水圖) remaining, expressed in the Southern School style and using the light ink and colors. When you open and view the picture as an X-framed picture with the focus on the center, it fits on a small screen and gives a stable feeling.
    The lush, rainy scenes were described in wet colors with the spread of ink paintings. The details of O Sun are revealed in the intensive handling of composition, skillful coloring and ink spreading.
    This study newly introduces a folding screen titled Landscapes of Four Seasons(四季山水圖), a later work drawn at the age of 70. This work, painted in lively and free-flowing lines, reveals his personalities that were mentioned in his records, and it is full of matureness. In every part of the work, the tree expressions of Gyeomjae Jeongseon(謙齋 鄭敾) appears, while the scenes and objects are depicted with the stroke of double brushes(兩筆法). The light coloring on each screen is generally clear, enhancing the perfection of landscape painting.
    His paintings of court days and of old age commonly depicted in the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and reflects the styles of the former Joseon painters. However, the works of court days show diverse yet sophisticated expressions, while the works of later years were drawn actively and freely with skillful strokes. The works of O Sun are important in that even the formal landscape paintings begin to reveal the original style of Joseon painters. This shows that the influence of Joseon painters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 and Jeongjo have been accumulated, and their influence was typical in the works of later painters.
    There is a shortage of remaining works of O Sun in comparison with the records, and i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nges in style. I hope that more works will be found in the future so that he will become a painter representing the painting scene of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