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건축환경 옛 모습으로의 재생방향 연구 - 진남관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Architecture Environment - For Jin - Nam - Gwan(鎭南館)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6.12
12P 미리보기
전통건축환경 옛 모습으로의 재생방향 연구 - 진남관을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주거환경 / 14권 / 4호 / 253 ~ 264페이지
    · 저자명 : 주우일

    초록

    진남관은 한국의 전통목조건축물을 대표하는 국보로 조선시대 객사로 창건되었다. 이 건물의 창건연대를 알려지지 않으나 현재 건물은 이시언에 의하여 1599년 중건되었다. 그 후로도 소실과 중수를 거쳐 마지막으로 1899년 객사로서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진남관은 장대석 기단 위에 정면 15칸, 측면 5칸 4익공의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벽체를 포함하지 않은 통칸으로 루(樓) 형태로 복원 정비되어 있지만, 기둥의 배열, 주칸의 간격 등과 더불어 장부구멍, 주선과 과거 문을 달았던 기둥의 흔적 등이 남아 있어 고문헌(古文獻)에서 언급되어 있듯이 과거에는 정청(正廳)과 좌우에 익헌(翼軒)으로 구성된 ‘객사(客舍)’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는 진남관(鎭南館)에 대하여 문헌사적 고찰을 통해 전라좌도수군절도사영(全羅左道水軍節度使營) 객사(客舍)로서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해 보고, 객사(客舍)로 복원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영어초록

    The Jin-Nam-Gwan(鎭南館) is a representative wooden building of cultural porperties in south korea. It is Gaek-Sa(客舍) which is a representative building of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The exact years of buildings construction are not known; however, it was possible to learn during this investigation that “Jin-Nam-Gwan(鎭南館)” is not ‘Ru(樓)’ but it is a ‘Gaek-Sa(客舍)’ which had been build for a long period.
    The original Jin-Nam-Gwan(鎭南館) had been rebuilt in 1599 by the county governor Lee Si earn(李時言). Since then, there have been multiple destructions by fire and subsequent rebuilding. The county governor Choe Jeong ik(崔正益) rebuilt the latest Jin-Nam-Gwan(鎭南館) as Gaek-Sa(客舍) in 1899. At the time, the building was constructed ‘3Tape room’ in inner space. The Central room was called the Jeong-Cheong(正廳), the west room was called the Jwa-Ikheon(左翼軒) and the east room was called the Woo-Ikheon(右翼軒). Meanwhile, it was recovered the same building as current in 1965 which was reused school building sinc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curing the appropriateness of restoring Jin-Nam-Gwan(鎭南館) as Gaek-Sa(客舍) by exploring the whol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Accordingly, this study prepares the basis for the restoration of Jin-Nam-Gwan(鎭南館), which represents the Yeosu county during Joseon period, based on the ancient records, old paintings, photographs and the testimonies of related people.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Jin-Nam-Gwan(鎭南館) restoration by preparing a design drawing based on th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거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