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의 도심과 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Yulgok’s ‘Doshim·Y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1.02
25P 미리보기
율곡의 도심과 예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격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격교육 / 15권 / 1호 / 5 ~ 29페이지
    · 저자명 : 김선경

    초록

    율곡에게 마음과 예에 대한 공부는 우주와 이어진 인간 존재의 이유를 자각하고, 본연의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일상에 구축해 낼 수 있는 능력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공부는 인간이 외부세계와 만나는 끊임없는 찰나에서, 마음과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에서 출발해 세계를 대면하는 모든 순간에 ‘정성스러움’을 다 하는 일이다. 즉, 자신에게 깊숙이 들어가는 길인 동시에 생명력으로 가득 찬 이(理)의 세계로 살아가는 공간(공동체)을 확장시키려는 평생에 걸친 기획이다.
    율곡 공부의 본질은 나태함 등 만성이 되어 버린 자신의 습관, 편견, 욕심과 이기심 등의 기질적인 문제를 입지·궁리·거경 공부로 일상에서 쉼 없이 들여다보며, 자신을 본연적인 바름으로 변화시키기를 요구하는 것이다. 일상의 숨결로 온전히 자신에게 집중하는 입지·궁리·거경 공부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도심과 예를 따르게 하기 위함이다.
    자만하지 않고, 성인의 삶을 지향할 수 있다고 인간의 잠재성과 가능성을 굳게 믿은 율곡은 끊임없는 외부세계의 변화를 그대로 투명하게 받아들이려고 감각과 감정을 깨웠고, 존재가 아니라 과정으로 자신의 삶을 정화 시키고 승화시켰다. 이러한 마음과 예를 중심으로 한 공부 목적은 세상에 자신의 이름을 떨칠 영화로움이 아니라, 발 딛고 있는 일상에서 스스로 잘 살아감을 통해 만인에게 가치 있는 세상을 인간적인 차원에서 실현해내고자 함이었다.

    영어초록

    “Study lacking haeng(行) is not genuine in its essence.” This is a phrase that is at the core of Yulgok’s entire life, as well as at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Through the concept of ‘Doshim (道心)· Ye (禮),’ Yulgok made lifelong efforts to reconcile his study and life. ‘Doshim (道心)· Ye (禮)’ means the attitude through which one tries to permeate the desire to become a wise person (聖人) into one’s time and space. The way that this desire must pursue is ‘Ye(禮),’ while the study to realize the deserving of which in everyday life is ‘Gungri (窮理).’ Furthermore, ‘Geogyeong (居敬)’ signifies the attitude of expressing such desire through ‘Ye (禮).’ Lastly, ‘Seong (誠)’ means to never lose one’s original aspiration under any circumstanc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vel through the world of Yulgok’s study by using ‘Yeokhaeng (力行)‘ as a guide. The secondary - and perhaps the most important -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that the researcher seeks to ask Yulgok. The questions that the researcher keeps in mind are: a) ‘Why should one study?‘, b) ‘What should one study, and what good does it do?, and c) ‘How one should study, and live?‘ This article will try to find the specific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rough how Yulgok himself led his own life.
    The path and direction for us humans to advance are eventually to realize the meaning of the universe within ourselves. However, we who live in reality are subject to countless external temptations due to our various needs.
    Giving in to such temptations and allow our greed to lose ‘Zhongyong (中庸),’ taints ‘Gi (氣).’ For Yulgok, ‘Doshim (道心, Tao’s mind)’ and ‘Inshim (人心, Men’s mind)’ are originally the same in their essence. In such circumstances, however, ‘Doshim (道心)’ shifts to become ‘Inshim (人心)’ while the rules of nature are obscured by human greed, isolating the universe and humans.
    Yulgok stressed that one should act in accordance with ‘Ye (禮)’ by training ‘Gi (氣)’ in such ways as correcting temperament and fixing old bad habits. He argued that pure ‘Yi (理)’ and ‘Gi (氣)’ are not only found in human beings, but rather, in the whole universe and all its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격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