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永樂 6년 고구려의 백제 침공 원인에 대한 검토 - <廣開土王碑> 辛卯年 기사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On the Reason of Goguryeo’s Invasion on Baekje in 396 - Re-interpretation of the Beginning Paragraph of the Description on Baekje Invasion in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0.06
23P 미리보기
永樂 6년 고구려의 백제 침공 원인에 대한 검토 - &lt;廣開土王碑&gt; 辛卯年 기사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4호 / 251 ~ 273페이지
    · 저자명 : 최연식

    초록

    이 논문에서는 <광개토왕비> 영락 6년 백제 원정 기사 서두 부분의 이른바 신묘년 기사에 대한 기존 해석들의 문제점을 영락 6년 기사 전체의 맥락과 한문 문법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해 보았다. 기존 해석의 중요한 문제점들은 영락 6년의 백제 원정 원인을 서술하였을 신묘년 기사의 내용에서 실제 백제 원정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다는 점, 신묘년 기사 내부의 문장들이 서로 순조롭게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 來·渡·破 등의 글자에 대한 해석이 문법에 맞지 않는다는 점, <광개토왕비> 전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4자구를 기본으로 하는 문장 형식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이상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신묘년 기사를 ‘百殘新羅, 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 來渡▨破, 百殘▨▨(新)羅, 以爲臣民.’으로 나누어 읽고, 이를 ‘백잔(백제)과 신라는 예부터 속민으로 계속 조공하였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에 ▨破에 건너오자 백제는 (왜와 함께) 신라를 (쳐서) 신민으로 삼으려 하였다.’는 내용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에 의하면 신묘년 기사는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에 복속되어 있던 안정된 상황에서 신묘년에 왜가 ▨破에 건너온 것을 계기로 백제가 왜와 연결하여 신라를 공격하(려고 계획하)는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이야기하는 내용이 되며, 이는 바로 뒤에 서술되는 광개토왕의 백제 원정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신묘년 기사에 대해 백제 원정의 직접적 원인과는 관련 없는 왜나 고구려의 위상을 강조하거나 실제 사실로 볼 수 없는 고구려인들의 허구적인 대외인식으로 이해하였다. 하지만 신묘년 기사는 백제에 대한 원정으로 귀결되게 되는 광개토왕 초기의 한반도 내외의 주요 정치세력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것으로, 당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 동향을 거시적으로 제시하는 귀중한 사료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is no consented understanding on the beginning paragraph of the description of King Gwanggaeto’s invasion on Baekje in 396 in his Stele, the entry of Sin-myo(辛卯) year, despite of not a little scholars suggested their own interpretations on it.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s in grammar and style as well as in the context, and tried to sugges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e important problems of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are like these; 1) cannot find the direct reason or motive of the invasion, 2) the sentences or phrases in the paragraph don’t match well each other, 3) the interpretations of the words like 來·渡·破 are against grammar, 4) the punctuations neglected the 4 word phrase style which is in fashion at the time and also prevails in the inscription. Following the classical Chinese grammar and 4 word phrase style we punctuated the paragraph like this; 百殘新羅, 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 來渡▨破, 百殘▨▨(新)羅, 以爲臣民. This punctuation shows that the word 破 cannot be a verb but a part of place name, as after the word 來渡 (come across the sea or river) should come the arrival place. According to the punctuation this paragraph can be interpreted like this; both Baekje and Shilla were subordinates (of Goguryeo) since early times. But when Wa(=Japan) came to ▨破 in the Sin-myo(辛卯) year, Baekje (tried to invade) Shilla to make their own subordinate. With this interpretation we can cleary understand the reason or motive of Goguryeo’s invasion on Baekje. The beginning paragraph of the description of invasion on Baekje in 396 was neither a praise of achievements of Japanese army nor a Goguryeo-centric world view having no relation with the invasion on Baekje as some scholars suggested. On the contrary, this paragraph tells the important change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led to Goguryeo’s invasion on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