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女性 作家’ 되기의 不/可能性과 主體化 戰略 –徐永恩 初期 中·短篇小說을 中心으로- (The Im/Possibility of Being a Woman Writer and the Strategy of Subjectivation in Seo Yeong-eun’s Early Short Stories and Novella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3.03
31P 미리보기
‘女性 作家’ 되기의 不/可能性과 主體化 戰略 –徐永恩 初期 中·短篇小說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1권 / 1호 / 205 ~ 235페이지
    · 저자명 : 노민혜

    초록

    노민혜, 2023, ‘여성 작가’ 되기의 불/가능성과 주체화 전략, 어문연구, 197 : 205~235 이 글은 서영은 초기 중·단편소설에 나타난 여성 작가의 서사 전략을 1970년대 문학장과의 관련 속에서 독해함으로써, 문학장 안팎을 규율하는 가부장적 질서의 젠더정치가 여성의 주체화를 제약하는 담론적 조건으로 작동함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기존의 논의에서 크게 주목되지 못했던 남성 화자 소설을 포함하여, 화자의 젠더에 따라 달라지는 서영은 소설의 언술 구조 속에서 화자의 위치와 발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 화자의 시점을 취한 작품에서는 화자의 동일시하는 시선에 포착되지 못하고 서사의 표면에서 감추어진 여성 목소리가 여성 화자 소설에서 복원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 화자 소설들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는 마조히즘적인 여성 인물들은 주체와 타자의 필연 불가피한 의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서영은 문학은 이처럼 자기 안의 타자와 벌이는 고투를 서사화하는 것으로써 특유의 작가적 영역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서영은 문학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1970년대 여성문학을 더욱 풍성하게 읽어내는 데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narrative strategy of women writers in relation to the literary field of the 1970’s, focusing on Seo Yeong-eun’s early short stories and novellas while arguing that the gender politics of patriarchal order that regulates societ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literary field act as discursive conditions that limit female subjectivation.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s the location of the narrator and the effect in the structure of utterance of Seo Yeoung-eun’s stories, including the male-narrator stories that have not recieved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Accordingly, male-narrator stories fail to grasp women’s voice, while female-narrator stories succeed to restoring it. As the female-narrator stories repetitively depict masochistic women through the subject’s inevitable dependence on other, Seo Yeong-eun, taking this as her representative strategy, seek to narrate the subject’s struggle with the other within herself, which leads to solidifying her literary realm as s women writer.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ntributes to reading women’s literature of the 1970’s more deep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