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집의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Infant Teachers’ Picture-book Reading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8.03
21P 미리보기
어린이집의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8권 / 6호 / 629 ~ 649페이지
    · 저자명 : 공유정, 정가윤

    초록

    본 연구는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46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PS 2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어린이집 기관 유형 변인과 교사 변인에 따라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영아 그림책 읽기가 매일 이루어진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기관의 유형의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유놀이시간에 그림책 읽기가 주로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 학력과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반복읽기에 있어 영아들이 원할 때까지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준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영아 그림책 읽기 목적에 대해 언어 발달 촉진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관 유형과 담당 학급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영아 그림책 읽기의 어려움은 영아들의 주의 집중력 유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다 체계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가 현장에서 좀 더 의미 있게 진행될 수 있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infant teachers organized picture-book reading practices in classroom and what was their perception on picture-book reading to infants. The researchers surveyed 466 teachers in infant-toddler classes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data were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were analyzed using x ²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institution and teacher’s variables lik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s and ages of infant they were teaching. First, the teachers the most likely to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everyda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reading to inf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Second, most teachers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during free play tim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the teachers read to infants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of the teachers. Third,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repetitively as many time as the infants desir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repetition of reading depending on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Fourth, the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purpose of reading picture-books to infants was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reading to infants in terms of institution types and ages of infants the teachers were teaching. Fifth, the most teachers had difficulty in reading picture-books to infants because infants lost interest easily and had short attention span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the teacher felt when they were reading to infants regarding institutional typ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ultimately allowing infants’ picture-book reading to develop in a more meaningful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