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적전투를 위한 다윗의 장막회복 (Restoration of David’s Tent for Spiritual Warfa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09.11
33P 미리보기
영적전투를 위한 다윗의 장막회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2권 / 283 ~ 315페이지
    · 저자명 : 이종우

    초록

    지난 80년대와 90년대에 한국교회는 교회성장운동을 힘썼으나 신자들의 수
    는 제 자리 수에 머물러 왔다. 교회성장학과 더불어 ‘영적 전투개념’이 1980
    년도부터 미국의 교회성장학파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나는 이 개념이 충분
    히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적 전투개념은 구약에서 여호와의 전쟁이란 줄기로부터 이미 시작되었
    는데, 여호와의 전쟁과 영적 전투의 원리는 연속성이 있다. 영적 전투라는
    용어는, 처음에 독일학자들이 ‘성전’(holy war)이라고 불렀으며, 그것은 ‘여호
    와의 전쟁’으로 발전되었으며, 신약의 빛에서 영적 전투로 연결되었다. 그러
    므로 여호와의 전쟁과 영적 전투는 전혀 다른 현상이 아니며, 거기엔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
    그리고 영적 전투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곧 예배이다. 나는 예
    배의 최고의 모델로서 다윗의 장막이란 사실을 지적하며 연구하였다. 왜냐
    하면 하나님은 “내가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세우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암 9:11).
    다윗은 예루살렘에 새 텐트를 준비하고 법궤를 그 곳에 모셨다. 그리고
    그는 레위인 찬양단과 문지기들을 임명하여 장막에서 매일 24시간 찬양의 예배을 드리도록 하였다. 다윗의 장막은 하나님을 향한 다윗의 절대적인 사
    랑에 기인된다.
    다윗의 장막은 여호와의 전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무엘과 역대기 기
    자들은 다윗이 여호와께 예배자 다윗의 장막을 논한 후 “여호와께서 다윗이
    어디를 가든지 이기게 하셨더라”(삼하 8:6,14; 대하 18:6,13)라고 기록하고 있
    다. 즉, 역대기 기자의 관점은 다윗의 장막이 여호와의 전쟁에서 완전한 승
    리를 가져다 준 중요한 기초란 시각을 제공한다(삼하 6-8장, 대상 16-18장).
    이것은 모든 시대에 교회성장과 선교사역의 중요한 원리가 된다고 본다.
    하나님께서 교회의 진정한 왕이 되실 때, 교회는 부흥과 성장을 가져온다.
    하나님께서 선교사역의 주인이 되실 때 선교는 성취된다. 이것인 진정한 ‘하
    나님의 선교’(Missio Dei)이다. 하나님의 영광은 선교사역의 중심적 주제이며,
    성경의 중심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밖으로 전쟁에 나아가
    기 전에, 먼저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보아야 한다. 하나님의 영광을 향한 열
    정, 그것이 곧 예배이며, 그것은 우리를 영적 전투의 승리로 이끄는 중요한
    비결이다.

    영어초록

    Korean churches have been stuck for the past 20 years. Every year 2,500
    churches are planted but three thousand churches disappear. In this crisis,
    Korean churches need to regain spiritual revival rather than focus on
    outer growth of church. Revival is what brings about the inner vitality of
    church, while the spiritual battle is the one that advances outward with
    the regained inner strength of church.
    The concept of spiritual battle has been discussed by the American
    church growth school since the 1980s. It was originated from Jehovah’s
    war in the Old Testament, so the principles of both Jehovah’s war and
    spiritual battle are not different. One of the parts that constitute the
    concept of spiritual battle is worship, of which the best model is the tent
    of David, as God promises, “I will restore David’s fallen tent” (Amos 9:11).
    I think that David’s wars are model ones that achieved perfect victory
    and that David’s tent is an important factor of that victory. This paper
    proposes to discuss David’s tent in terms of New Testament’s concept of
    the victory of spiritual battle.
    As for the terminology of ‘spiritual battle,’ it was called at first by
    German scholars as ‘holy war’, then developed into Jehovah’s war(this is
    Biblical expression), and finally connected to the spiritual war in New
    Testament. Todays the concept of the spiritual war goes for intimacy
    with God, that is, restoration of worship.
    When David became Israel’s King, he immediately had Jehovah’s ark
    brought to Jerusalem. The tabernacle that Moses had made was in
    Gibeon at that time. Perhaps it was so old, so David prepared a new tent
    and then put the ark in Jerusalem. He appointed Levites as choir
    members or gatekeepers and let them worship and praise for 24 hours
    everyday in the tent. The tent was like the heart of David’s kingdom.
    David and Israel worshipped at two places-Jerusalem and Gebeon-during
    the David’s reign. They usually offered traditional sacrifices in Gibeon
    and praising worships in Jerusalem. So David’s tent was the emblem of
    David’s absolute love for God.
    David’s tent has close affiliation with Jehovah’s war. The writers of
    Samuel and Chronicles say, “The Lord gave David victory everywhere
    he went” (1 Samuel 8:6, 14; 1 Chronicle 18:6, 13). This passage means
    two things. First, David always won. Second, his victory was not due to
    his excellent war strategy nor his leadership, but only to the fact that
    God was with him.
    The secret of David’s complete victory and his kingdom’s prosperity
    was in Jehovah’s war that he waged. This was possible because David
    had deep intimacy with God through his complete worship. This is also
    an important principle of church growth and mission ministry at all
    times. When God becomes the true king of church, the church revives.
    The Lausanne movements after 1974, which are Lausanne Declaration
    (1974), Manila Declaration (1989), and Iguasu Declaration (1999), have
    emphasized on prayer and spiritual warfare.
    God’s glory is the central theme of mission ministry and one of main
    themes of the Bible. Therefore, before going outward to war, we must
    look for God’s glory. We must seek God’s face and his Name through
    prayers and praising worships. The passion for God’s glory-that’s the
    important key to the victory of spiritual batt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