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Raising the status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with a particular reference to the debate on moving Youngwoowon[永祐園])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2.03
43P 미리보기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0호 / 139 ~ 181페이지
    · 저자명 : 최성환

    초록

    영조와 정조에게 生母 및 生父를 어떤 예법으로 추모할 것인지는 대단히 중대한 문제였다. 자신들의 정통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모두 치세의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생모 및 생부의 평범했던 위상을 한 차원 높이려고 하였다. 영조는 宮園制라는 새로운 예제를 확립하여 생모의 추숭 문제를 왕실 차원의 예법으로 정리하였다. 정조는 영조가 확립한 궁원제에 의거하여 생부를 추숭하였고 遷葬까지 단행하였다.
    정조의 구상은 원대하였지만, 이를 실현해 가는 과정은 매우 조심스러웠고 그런만큼 주도면밀한 모습을 보였다. 영조는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의 義烈을 드러내고 그에 조응하여 세자의 위호가 회복된 것임을 보여주기 위하여, 垂恩墓를 조성하고 垂恩廟를 건립하였다. 사도세자의 묘소와 사당은 지나치게 융숭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흉지에 볼품없이 조성된 것도 아니었다. 말 그대로 의리와 예제에 입각해 엄정하게 조성된 것이다.
    그러나 사도세자에 대한 영조의 엄정한 예법 적용이 세손에게는 박절함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세손이 즉위하게 되자 환경은 변화하였다. 정조는 즉위 직후 사도세자를 장헌세자로 추숭하고 수은묘를 영우원으로 수은묘를 경모궁으로 격상하였으며, 그에 걸맞게 사당을 확장한다든가 관리 기구의 위격을 높인다든가 주변 시설을 보강하였다. 정조는 영조에 의해 확립된 宮園制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영우원-경모궁의 위상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정조는 경모궁-영우원의 위상 강화에 만족하지 않았다. 정조가 궁극적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훗날 있게 될 先世子의 追王, 그리고 이에 대비하여 영우원을 왕릉급으로 조성해 두는 것이었다. 정조 13년에 단행된 영우원 천장과 현륭원 조성은 이러한 구상과 준비가 드러난 것이며, 궁극의 방향은 자신이 상왕이 된 후 선세자의 추왕까지 대비한 것이었다.
    이렇듯 정조는 원대한 구상에 따라 각 단계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부친을 위한 추모공간에 변화를 주며 관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Chŏngjo commemorated the memory of his dead father [Prince Sado] through analysing his scheme for the reconstruction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It was critical for Yŏngjo and Chŏngjo to decide how to honor the memory of their birth mother and birth father respectively since it was associated with their legitimacy as a ruler. Yŏngjo established a new system called Koongwonje [宮園制] in which his birth mother was honored. To do that, a new ritual of royal family was put forward by Yŏngjo. It was on the basis of Yŏngjo's Koongwonje [宮園制] that Chŏngjo pursued the idea of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moving his late father's tomb.
    Chŏngjo drew a big picture of his plan to restore Prince Sado's honor with painstaking care, initially basing his decision on precedents set by Yŏngjo. Noticeably, Yŏngjo acknowledged the fact that Youngbin [暎嬪], Prince Sado's mother, had prioritized Jongkook [宗國] over her private affection toward her son. This enabled Yŏngjo to build up Sooeun tomb[垂恩墓] and Sooeun shrine[垂恩廟], showing his approval for recovering the late Prince's damaged reputation. The architectural arrangement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was neither too extravagant nor too parsimonious, abiding by the ideas about Euli [義理] and Yeje [禮制].
    Chŏngjo regarded Yŏngjo's arrang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as his lack of affection toward his son. As soon as Chŏngjo ascended to the throne, he attempted to redeem his father [Prince Sado] by reconstructing the space for the commemoration of the late prince as well as by giving his late father the title of Prince Changheon[莊獻]. For instance, Sooeun tom[垂恩墓] and Sooeun shrine[垂恩廟] were renamed Youngwoo tomb[永祐園] and Kyeongmo shrine[景慕宮] respectively, which was followed both by elevating the status of the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maintaining the tomb and shrine and by adding more buildings to existing facilities.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Chŏngjo's attempt to pay respect to his late father went further, aiming at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This can be exemplified by moving Youngwoo tomb[永祐園] and building up Hyeonryeung tomb[顯隆園]. Importantly, the changing phases of the rearrangement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can be seen as part of Chŏngjo's plan to enable his successor to implement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as a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