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경과에 대한 연구 (The Incidence and Clinical Course of Acute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1 최종저작일 2009.09
9P 미리보기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경과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장학회
    · 수록지 정보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28권 / 5호 / 424 ~ 432페이지
    · 저자명 : 이수림, 김현경, 김병수, 송호철, 권혁민, 윤혜은, 김영수, 김성수, 윤선애, 김영옥, 강봉구, 정의성, 김민걸

    초록

    목적: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는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나 급성신부전증이 급성췌장염의 중증도와 이환율, 그리고 사망률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신부전증 발생이 중증 급성췌장염의 임상경과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2001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3개 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성가병원, 성바오로병원)에 중증 급성췌장염으로 입원한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입원 시 의무기록을 다기관, 후향적 연구를 통해 시행하였다.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급성신부전증 유무에 따라 임상적 특성과 검사실 소견, 방사선 소견 및 질환의 중증도 지표, 이환율, 사망률 등의 임상경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전체 중증 급성췌장염 102명의 환자 중 급성신부전증은 39명에서 발생하여 발생빈도는 38.2%였다. 급성신부전증 환자의 입원 중 최대 혈청 크레아티닌 치는 4.5±2.3 mg/dL (2.0-14.0 mg/dL)였고 심한 신부전증으로 투석치료를 받았던 환자는 8명 (20.5%)이었다. 급성신부전증이 동반된 전체 39명의 환자에서 10명이 사망하였다 (25.6%). 생존자 29명 모두 신기능은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기간은 평균 6.0±4.9일 (2-22일)이 소요되었다. 급성신부전증 환자는 정상신기능 환자에 비해 호흡곤란 (17.9% vs 3.2%, p=0.011), 의식불명 (17.9% vs 1.6%, p=0.003)의 빈도가 더 높았고, 중증 지표인 8점 이상의 APACHE II score 환자가 더 많았다 (92.3% vs 0%, p<0.001). 그러나 다른 중증 지표인 Ranson’s score와 CT grade 분포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환율 비교시에 급성신부전증군은 정상 신기능군에 비해 DIC (17.9% vs 1.6%, p=0.003), 패혈증 (35.9% vs 7.9%, p<0.001), 다발장기부전 (15.4% vs 0%, p=0.001), 호흡부전 (28.2% vs 4.7%, p=0.001) 빈도가 높았다. 전체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12명 (11.8%)이 사망하였으며, 급성신부전증군에서 정상 신기능군에 비해 사망률이 높았다 (25.6% vs 3.2%, p=0.001). 혈소판감소증 (p=0.037, 95% C.I 1.130 - 56.991), 헤마토크리트상승 (p=0.023, 95% C.I 1.229-17.226), LDH 증가소견 (p=0.040, 95% C.I 1.080- 24.913)은 급성신부전증 발생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인자였다.
    결론:본 연구 결과 중증 급성췌장염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가 비교적 높고 정상신기능 환자에 비해 임상증세가 심하며 이환율과 사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증 급성췌장염에 급성신부전증이 동반되는 경우 빈도가 더 높은 임상소견에 대해 염두에 두고 입원시부터 환자의 중증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적극적인 초기 치료로 급성신부전증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Purpose:Although acute renal failure (ARF) commonly develops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SAP), the impact of ARF on disease severity is rarely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findings,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SAP patients with and without ARF.
    Methods: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dical records of 102 patients with SAP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8 in 3 hospital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ourse of ARF in SAP patients. Then, we compared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ARF and normal renal function (NRF).
    Results:Of the total 102 SAP patients, ARF was observed in 39 patients (38.2%). The peak serum creatinine level in ARF patients was 4.5±2.3 mg/dL. Eight of the 39 ARF patients (20.5%) received hemodialysis and ten patients (25.6%) died. When compared to NRF patiens, ARF patients (n=39) had higher incidence of dyspnea (17.9% vs 3.2%, p=0.011), loss of consciousness (17.9% vs 1.6%, p=0.003), and APACHE II scores more than 8 (92.3% vs 0%, p<0.001). The ARF group had also higher incidences of sepsis (35.9% vs 7.9%, p<0.001), multiorgan failure (15.4% vs 0%, p=0.001), respiratory failure (28.2% vs 4.7%, p=0.001) and mortality (25.6% vs 3.2%, p=0.001).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rombocytopenia, hemoconcentration, and high LDH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ARF in SAP patients.
    Conclusion:The incidence of ARF was high (38.2%) and ARF patients showed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compared to NRF patients. We suggest that early management of ARF should be performed for reducing the mortality in SAP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